[박건옥 칼럼]

'충청권 상설협력기구 설립 기획단'이 오늘 세종시에서 출범한다. 대전, 세종시, 충남·북 공동으로 충청권 상생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기 위해서다.

비록 준비단 성격이지만 상설기구의 발족 일정을 모색하는 것 이외에도 문화·생활·관광·생태권 조성 등의 공동과제를 논의하는 의미가 작지 않다.

국토발전 중심축이 충청권으로 이동한 데 따른 당연한 귀결이다.

수도권 과밀화 해소-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세종시가 2012년 7월 출범, 자족형 명품도시로서의 위상을 다져가고 있는 중이다.

중앙부처의 세종시 3단계 이전이 완료되면 모두 36개 기관(1만 3000여명)이 근무하는 대한민국 행정 중심지로 부상한다.

여기에다 대전이 과학·교육도시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청이 내포신도시에 옮겨오면서 환황해권 시대를 견인하고 있고,

충북은 오송 바이오밸리, 청주공항, 통합청주시 7월 출범 등의 호재를 맞고 있다.

과학벨트 거점지구인 대전(신동·둔곡지구)과 기능지구로 지정된 세종과 충북 오송·오창, 그리고 충남 천안이 과학벨트의 역할을 분담해야 할 처지다. 충청권이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 창출의 산실이 되는 것이다.

충청권이 지역별 특성을 살린 다핵구조로 재편되면서 선순환 구조의 광역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건 주목할 대목이다. 시·도간 경계를 넘어 광역생활권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특유의 공동체 정서 및 정체성이 그 바탕에 끈끈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지나칠 수 없다.

충청권 인구가 호남권 인구를 추월하면서 서울, 영남에 이어 전국 3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충청권 스스로 광역도시권 전략의 당위성을 자각했다는 점은 특기할만하다. 충청권의 공조 역사는 짧지 않다.

충청권 광역단체 차원에서 '충청권행정협의회규약'을 1995년 제정한 이후 공식채널을 통해 협의한 사안만 해도 수두룩하다. 결집된 역량 덕분에 이뤄낸 결과물 중에서도 세종시 원안 추진,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성과를 빼놓을 수 없다.

궁극적인 지향점은 충청광역행정본부 발족에 모아진다. 4개 광역단체가 합의한 사안이어서 이를 어떻게 구체화 시키느냐의 문제만 남았다. 6·4지방선거 변수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발족시기를 하반기로 미뤄놓은 듯하다. 설립 형태도 논란거리다.

그간 충청권 광역화 논의는 상당한 수준까지 와 있는 상태다. 대전시를 중심으로 '중부권 메갈로폴리스(초광역도시)' 개념이 나온 것도 그 중의 하나다.

이미 수도권은 서울을 중심으로 거대 도시화돼 있고,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역시 몸집을 불리고 있다. 여기에 맞서 충청권에 계획적인 메갈로폴리스 조성의 필요성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세계 도시 간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보더라도 그러하다.

'충청권 공동 발전'이라는 대의명분에 충실하다면 의외로 쉽게 풀릴 수도 있다. 수도권에는 2009년부터 광역급행버스를 운행하고 있고, 부산·울산·경남 또한 2012년 동남권광역교통본부라는 추진기구를 결성, 광역교통 현안에 공동 대처하고 있다. 거기에 비하면 충청권의 공조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