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단지 30년

대덕연구단지가 조성된 지 올해로 30년을 맞는다.
정부가 과학입국을 꿈꾸며 과학중흥을 이룩하기 위해 조성한 대덕연구단지는 처음 몇년 동안은 기대에 못미친 것도 사실이지만 지금은 21세기 국가의 장래를 짊어질 과학의 요람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5회에 걸쳐 진단한다.
<편집자 註>

글 싣는 순서

① 총괄
② 과거와 현재?
③ 벤처산업
④ 연구실태
⑤ 미래 방향

초기 순수 연구개발·교육 목적 태동

산·학·연 협동단지로 전환 기능확대

다각적 교류통해 생산체계 도모해야

대덕연구단지는 올해로 한 세대를 마감짓는 30주년을 맞이하게 됐다.

지난 세월 동안 대덕연구단지는 아기의 서툰 걸음마에서 어린아이의 달음박질로, 또다시 청년의 힘찬 발걸음을 내디뎌 오면서 선진국의 급속한 과학기술 발전과 기술패권주의에 맞서 든든한 버팀목이 돼 왔다.

조성 초기의 목적인 연구개발에서 산·학·연 협동단지로의 변화는 대덕연구단지의 기능을 확대시키는 일대 전환기의 발판이 됐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실제로 무수한 벤처업체들이 대덕연구단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업, 세계의 유수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으며, 세계가 놀랄 만한 제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1973년 계획·74년 조성시작

21세기 대덕연구단지는 제2의 실리콘밸리의 중심지를 꿈꾸고 있을 만큼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응축돼 온 무한한 잠재력의 폭발이 기대되는 대덕연구단지, 우리 나라의 미래 과학이 이곳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대덕연구단지는 국토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목적 아래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교차하는 국토의 중앙부에 자리잡고 있다.

지난 73년 과학기술진흥정책의 일환으로 계획돼 다음해 3월 조성되기 시작한 유성구 도룡동 일대 840만평 규모의 대덕연구단지에는 국가기관을 비롯한 정부출연기관, 정부투자기관, 민간기업 부설연구기관, 벤처업체 등이 입주했거나 입주 예정이다.

116개 기관 1만6천여명 종사

2001년 말 현재 입주기관과 종사자는 모두 116개 기관 1만5899명이며 이중 18개 정부출연기관에 6473명, 10개 정부투자기관에 2452명, 27개 기업부설연구기관에 3297명, 4개 고등교육기관에 2319명, 9개 공공기관에 422명, 44개 벤처기업에 899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벤처보육업체 종사자는 2875명, 주거자는 6만2505명, 기타 상업 종사자는 2800명이다.

토지이용 현황을 보면 교육·연구 및 실용화 관련 시설구역이 약399만평, 주거구역이 약 72만평, 상업구역이 약 11만평, 녹지구역이 약 358만평 등 총 840만평이다.

대덕연구단지는 지난 70년대부터 세계 선진국들이 앞다퉈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용, 주요 핵심 기술의 이전기피 등 기술패권주의 양상이 심화되면서 자주적인 과학기술의 혁신만이 경제성장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지속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첨단과학기술 태동 중심지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대덕연구단지는 과학기술의 범국가적 지적공동체의 구축과 정부·민간 부문 전략연구기관의 집중적 배치, 국토의 중앙부에 조성해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자는 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조성 초기 순수한 연구와 교육 기능만을 중시했던 대덕연구단지는 국가의 벤처산업 육성정책에 편승한 벤처창업의 열풍에 휩싸여 연구중심의 기능에서 생산 중심의 기능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게 됐다.

대덕연구단지가 첨단과학기술의 근본 중심지라면 대덕밸리는 이를 바탕으로 하는 확대된 첨단과학산업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대전시가 제시한 대덕밸리의 범위를 둘로 나누면 대덕연구단지와 둔산행정타운, 대전과학산업단지, 교육단지를 중심으로 발전시키는 협의의 범위와, 이를 축으로 충남의 테크노파크와 천안산업단지, 충북의 청주산업단지와 오창산업단지, 전북 등 3구역을 묶어 과학산업을 연계 발전시키는 광의의 범위로 나눌 수 있다.

이 같은 시의 정책은 첨단과학기술을 원동력으로 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의 과학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대덕밸리의 이상은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인력확보등 문제해결 '숙제'

대덕연구단지는 30년이 되는 올해 새로운 도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와 대덕밸리는 산·학·연·관 상호 유기적 관계를 지속하며 세계와의 교류 및 협력을 통해 첨단기술 개발과 생산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학계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IMF 외환위기 때 대덕연구단지내 연구직원들이 구조조정에 밀려 자의든 타의든 우수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벤처기업을 창업하고 제품을 상용화해 호평을 얻었다. 당연히 벤처부흥에 일조하게 됐다.

그러나 우수인력을 상당수 방출해야 했던 대덕연구단지 연구기관들은 상대적으로 우수인력확보의 어려움을 겪게 됐다.

현재 각 연구 기관의 연구원들은 비정규직 직원들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신분 보장을 받지 못해 사기가 저하되고 있다.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가 밝힌 '대덕연구단지 기반시설 확충 종합계획 및 중장기 발전방안'에 따르면 첨단기술 시대에 접어들어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면서 산업현장이나 기업은 변화된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신속히 필요로 하지만 대덕연구단지에 입주해 있는 상당수의 연구소에는 풍부한 현장경험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기술을 구비하고 있는 연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덕연구단지내에 외국 공공 및 민간연구소가 하나도 없어 국제교류의 장이 부족한데다 연구단지에서 창출된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덕연구단지는 세계 과학기술의 중심지로 거듭나기 위해 문제점들을 빠른 시일내 해결해야 하며 대덕밸리의 중심축으로서 기술이전을 위한 산·학·연 공조체제를 구축, 우수한 기술이 연구실적만으로 사장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따라 향후 대덕연구단지는 국한된 영역에서 벗어나 모든 영역과 유기적 관계를 지속하며 과학발전의 핵심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전망이다.

연혁

▲1973년 11월 충청남도 대덕군 일원 834만평을 교육 및 연구지구로 결정고시(건설부 고시 제468호)
▲1973년 12월 단지건설 기본계획 수립(과학기술처) 및 기준지가 고시(건설부 고시 제426호)
▲1974년 3월 단지 기반시설 조성 및 연구기관 건설 착수(연구기관 자체 부지조성 방식)
▲1977년 12월 대덕산업기지개발구역 고시(건설부 고시 제239호)
▲1978년 4월 연구기관 입주개시(표준, 화학, 선박연구소 등)
▲1981년 8월 대덕산업기지개발 기본계획 고시(건설부 고시 제328호)
▲1983년 2월 대덕연구단지 대전시에 편입(내무부)
▲1984년 8월 제14차 경제장관협의회에서 대덕연구단지 건설 추진방안 의결
▲1985년 5월 부지 조성을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한국토지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
▲1989년 2월 '93 대전엑스포' 개최 부지를 대덕연구단지내로 결정
▲1992년 11월 대덕연구단지 준공
▲1993년 8월 대덕연구단지내에서 대전세계박람회 개최
▲1993년 12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제정(법률 제4693호)
▲1994년 8월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설립
▲1994년 9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령 제정(대통령령 제14389호)
▲1994년 12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규칙 제정(총리령 제475호)
▲1996년 12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5254호)
▲1997년 1월 대덕연구단지관리계획 고시(과학기술처 고시 제1997-2호)
▲1999년 2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법률 제5821호)
▲1999년 6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6375호)
▲1999년 7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규칙 개정(부령 제11호)
▲1999년 12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법률 제6090호)
▲2000년 3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6760호)
▲2000년 9월 대덕밸리 선포식
▲2002년 12월 대덕연구단지 개발 계획 변경(건교부 고시 제2002-275호)

?<崔貞賢·權度延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