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의 공간개발이 확산됨에 따라 신도심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구도심의 상권이 급속히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특히 대전역의 역세권이 도시지하철공사로 인해 유동인구가 차단됨으로써 주변지역 입주상인들의 생계마저 위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역 앞 지하상가 상인들에게 과다한 임대료를 부과하고 있어 구도심의 활성화에도 크게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전시 시설관리공단측은 역세권 주변의 상권이 쇠퇴의 길을 걷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세상인들의 임대료 인하 요구를 묵살하고 있어 구도심 활성화에 앞장서야 할 공단측이 오히려 구도심 공동화에 일조하고 있는 꼴이다. 대전시의회의 행정자치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바로는 대전역 지하상가의 평당 임대료가 전국 지하상가 중에서 가장 비싼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주변 상권과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가뜩이나 개발지연 등으로 낙후돼 있는 동구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킬 우려가 크다.

대전시의 현안 과제 중의 하나로 항상 지적되고 있는 것은 동구지역의 개발을 유인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주민들과 대전시 당국은 동서관통도로의 개설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고, 이미 구체적인 개설계획을 수립하여 사업에 착수한 바 있다. 이렇듯 대전역 주변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들이 다각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마당에 지하상가에 대한 지나친 임대료 부과는 활성화에 역행하는 처사이다. 현실적으로 이 지역의 영업실적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쇠락해 있지만, 여전히 과거 대전의 중심 상업지역으로 영업실적이 활발할 때의 인식과 기준에 의해 임대료가 책정되고 있는 것은 분명 불합리한 것이다.

따라서 구도심의 상권을 되살리고 이 지역 입주상인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전시측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지하철 건설의 공기를 최대한으로 단축해 유동인구의 유입을 원활히 해 줌으로써 대전역 주변 상권이 옛 명성을 되찾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전을 중심으로 속속 교통체계가 구축되면서 인근 중소도시의 주민들은 물론 원거리 주민과 상인들에게도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각종 산물의 집배송 기능이 강화됐다. 차제에 대전의 침체돼 있는 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들이 모색돼야 할 것이다. 예컨대 서울의 동대문시장이나 남대문시장의 기능을 대전이 대체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적극 검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 대형 유통시설들이 대거 입지한 만큼 그러한 여건이 성숙됐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