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제의 본격 시행으로 각 지자체들은 지방 차원에서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세계경제의 중심축이 태평양 연안지역에서 환황해권으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동북아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우리 나라와 중국은 국교정상화 10년 만에 양국간의 경제교류는 양과 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 주고 있다.

중국은 2001년도 기준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한국의 3대 교역국으로 변모했고, 한국은 일본, 미국, 홍콩에 이어 중국의 4대 교역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로써 양국간 대외무역 규모는 국교정상화 당시인 1992년 63억 달러에서 2001년 315억 달러로 5배정도 확대됐다. 나아가 최근 중국경제의 부상으로 한국의 최대 관심대상국으로 바뀌어 환황해권 경제네트워크 구축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따라서 중국과는 지리적 측면에서나 역사적으로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던 대전·충남지역은 대중국 교류의 초병으로서의 역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성장 잠재력이 무한한 중국과의 교류확대는 우리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큰 몫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지방정부는 물론이고 민간 차원에서도 대중국 경제교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대전시와 중국 난징시와의 민간 차원 경제교류에 대전시 의회와 대전지역 경제단체가 공조체제를 본격 가동키로 함에 따라 대중 경제교류가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국 시장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정책에 의해 사회주의 시장경제로 이행하고 있지만, 아직도 관의 영향력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성공적인 민간경제교류의 확대를 위해서는 중국 당국과 우리 지자체간의 협력체제 구축이 절실하다. 이미 대덕벤처단지 연합회에서는 중국과의 다각적인 교류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대전시와의 긴밀한 공조하에 교섭을 활발히 벌여오고 있던 터이다. 중관촌과 협력체제를 마련했고, 대전시에서는 중관촌 벤처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민간기업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등 대덕밸리의 국제화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이는 대단히 고무적인 일로 이러한 유형의 사업들이 활발히 전개됨으로써 지역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중국에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성공적인 사례도 많았지만, 실패 사례도 많았던 만큼 중국시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사전에 철저한 분석과 당국자간 협력체제 구축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중국시장을 통해 일방적인 경제적 이해를 충족하기보다는 상호호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