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노망'으로 불리는 '치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유감이다. 충남도 내의 경우 치매노인은 65세 이상 전체인구 22만5000명 중 1만8000명(8%)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 중 행정기관 등록환자는 1250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도내의 치료 및 요양시설 규모는 고작 7개소 (700명 수용)에 그치고 있으니 치매환자 관리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 만하다.

치매는 당사자 가족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이미 국가적인 관심사로 삼을 만하다. 가족 중 누군가 만성퇴행성 정신질환인 치매에 걸리면 가족들이 겪는 정신적·경제적 고통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치매환자에겐 가족의 따스한 보살핌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맞벌이 부부가 많아진 요즘 이를 충족시키기가 힘들다. 심지어는 치매환자를 둘러싸고 가족관계가 붕괴되는 사례도 더러 발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매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책을 세우도록 촉구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의 경우 치매환자에 대한 복지관계자의 관심, 간호수준은 크게 뒤져 있다. 환자를 방 안에 가두어 두거나 환자에게 수면제를 먹여 일시적으로 잠을 재우는 일이 부지기수라고 한다. 치매 전문병원에서 치료 및 요양을 받을 경우 매월 150만원 정도를 부담해야 하므로 가족들이 이를 선택하기도 만만치 않다. 의료보험혜택도 적용되지 않아 농어촌 및 저소득층 노인들에겐 전문적인 치료를 기대하기 더욱 힘들다. 더욱이 홀로 사는 노인의 경우 대개 자원봉사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어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간병하기가 귀찮아서 또는 치료비 마련이 어렵다는 이유로 환자를 방치한다는 것은 국제적인 망신임에 틀림없다. 이제 치매는 단순히 특정 가족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치매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가정봉사원체제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장기요양시설이나 시간제 간병시설 등 환자 스타일에 맞는 관리시스템을 서둘러 확충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