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예술의 전당 감독직 뺀채 상정

10월 개관을 앞두고 직제조정 및 공연계획을 수립 중인 대전 예술의 전당이 예술감독직제를 없앤 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지역 문화예술인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문화예술인들에 따르면 서울 예술의 전당을 비롯해 대규모 공연시설에는 대부분 예술감독직제를 도입, 공연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관장의 독선을 견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데 반해 대전 예술의 전당은 예술감독직제를 뺀 채 직제조정안을 대전시의회에 상정했다.

예술인들은 특히 "공연기획에 전반적으로 참여해 공연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문화예술적 가치를 부여하는 협조자 역할을 담당하는 예술감독직은 지역 예술문화 육성과 공정한 문화공연 기획을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지역 예술계의 입장"이라며 가능한 지역 예술인을 예술감독으로 선임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서울 예술의 전당의 경우 공연, 음악, 미술 등 분야별 예술감독직이 비상임으로 마련돼 있어 관장과 기획자들의 독주를 견제하고 각종 공연의 예술적 가치부여에 대한 자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세종문화회관의 경우 소속 단체별로 단체장이 예술감독직을 겸직하도록 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는 개별 단체들조차 예술감독을 두어 공연의 지나친 상품화와 단체장의 독선을 견제하는 기능을 담당케 하고 있다.

서울지역 공연팀과 기획공연을 자주 했다는 한 기획자는 "연간 수십억원의 기획공연이 예정된 대전 예술의 전당에 예술감독이 없을 경우 자칫 공연기획 과정에서 비리가 발생하거나 공연기획이 편향적으로 흐를 소지가 높다"며 "지역색이 곁든 지역문화 반영과 관장 독주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지역문화 인프라 구축 및 정책적 반영의 차원에서 지역출신의 예술감독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석준 대전 문화예술의 전당 준비위원 팀장은 "공연, 음악 등 분야별 기획자 이 외에 예술감독을 별도로 두는 것은 공연 관행에 따른 병폐를 유발시킬 소지만 만들 뿐"이라며 "한 사람만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들과 시·시립 예술단체 관계자들 10~15명으로 구성된 운영조직 위원회를 조직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음악계의 한 원로는 "관장이 위원장이고 관장 주도하에 임용된 운영위원회라는 조직은 자칫 관장 친위부대로 전락하거나 어떠한 권리나 권한 행사도 못하는 조직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예술감독이 필요없는 직제라면 국내 대부분의 공연시설이나 해외 공연단체, 공연시설 등에서 예산을 들여가며 자리를 마련했겠느냐"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