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전매 불투명해지자 방향 선회

투기과열지구 내에서의 분양권 전매를 금지시키는 투기억제 초강수가 마련되자 그동안 소액의 단기차익을 노리던 '작전세력'들이 차익의 파이를 키우는 장기투기에 돌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전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분양권 전매를 통해 단기차익을 챙겨온 투기세력들이 단기투기의 위험부담이 커질 것에 대비해 안정적이면서도 차익이 커지는 장기투기로 옮겨 타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그동안 분양권을 되파는 수법으로 1회당 500만원에서 최고 3000만원에 이르는 단기차익을 챙겨온 '작전세력'들은 금명간 전매가 금지 조치가 발효된다는 정부의 발표 이후 장기적인 투자에 참여해 차익을 키우려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이들은 단기 전매가 불허된다면 실계약을 하고 막판 등기까지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한 후 마지막 단계에서 실수요자를 상대로 폭리를 취해 매매차익을 챙기겠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계약금(전체 분양가의 20% 이내)만 확보하면 중도금은 은행권 대출로 처리하고 잔금은 중도금과 함께 매수자에게 떠넘길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계산이다.

실제로 최근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이 같은 투기방법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작전세력들의 문의가 시작됐고, 일부 중개업자들은 장기투기에 참여할 세력들을 끌어 모으기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정부의 주택가격 안정화 대책이 자금력을 가진 큰손들만 참여할 수 있는 투기장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장기투기가 일반화될 경우 입주 아파트의 프리미엄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유층들이 투기억제책이 발효됐다고 해서 순식간에 제도 금융권으로 몰려들기를 기대하기란 어렵다"며 "일부 투기세력들은 장기투기로 옮겨 타 훗날 차익의 규모를 대폭 키울 구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