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는 … 오늘 죽었다"

독일월드컵에서 16강 진출이 좌절되던 날, 24일 새벽 TV 자막에는 심판의 석연찮은 판정으로 허탈감에 빠진 한국 축구팬들의 심정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주심의 휘슬이 울리자 그라운드에 머리를 파묻고 통한을 달래는 태극전사, 이를 바라보며 할말을 잃은 붉은 악마들의 모습이 아직도 뇌리 속을 맴돈다.

통한을 달래는 붉은 악마

경기는 끝났음에도 '스위스전 오심'을 둘러싼 논란이 포털사이트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검색순위 1위를 달리고 있을 정도다. "아들을 부둥켜안고 한참을 울었다"는 어머니로부터 "우리 12번 째 선수가 '붉은 악마'라면 스위스는 주심이 있었다"며 분통을 터뜨리는 댓글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잘못된 심판에 항의하자"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도 확산되고 있다. 한국인이라면 가슴속으로부터 올라오는 뜨거운 그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돌이켜보면 너무 뜨거운 태양처럼 강렬했던 지난 몇 개월이 이렇게 마무리된 듯하지만 또 다른 이슈를 예고하고 있다. 축구와 월드컵이 있어 행복했다던 붉은 악마들은 그래서 더욱 속이 상하겠지만 승부의 세계는 원래 냉엄한 현실이 지배한다. 그래도 한국은 잘했기에 더 이상의 패배 의식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비록 한국은 졌지만 아시아의 존엄을 잃지 않았다"는 외신들의 한결같은 평가가 나오고 있다. 안타까움과 탄식 속에서도 재기를 모색하는 염원은 꺼지지 않고 있다는 데서 조그만 위안을 삼는다.

사실 오늘날 한국인은 하나의 목표만 주어지면 거의 맹목적인 수준으로 결단을 내고야 만다. 2002년에도 그랬지만 이번 독일 월드컵에서 보여준 응원문화는 세계인을 놀라게 했다. 한국인의 전통적인 가무백희(歌舞百戱)기질이 독특한 축제문화를 일궈낸 것이다. 일사분란하면서도 열정을 한데 모아 감동을 주는 그 힘에는 그 어느 누구도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미 '붉은 악마'의 응원 스타일은 또 다른 한류(韓流) 문화로 세계 속에 파급되기에 이르렀고, 학술적으로도 연구의 대상으로 주목하고 있다.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을 막론하고 지향점을 찾아 끊임없이 항해하는 요즘 트렌드 속에서 우리의 역동적인 자화상을 발견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유비쿼터스 정신이 우리사회에 더 깊숙이 파고들면서 그 위력도 날로 커지고 있다. 일단 우리에게 과제가 주어지면 절대 머뭇거리는 여유가 없다. 단시간내에 일도양단으로 판가름을 내고야 마는 과단성은 이제 하나의 행동양식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다. 열정과 희망을 외면하는 어떤 움직임에 대해선 즉각 응징하는 조급성도 거기에 보태져 있다.

오만한 정치는 몰매 맞는다

혹자는 이를 '쏠림 현상'으로 우려하기도 하지만 우리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더 할 나위 없는 긍정적인 요인이기도 하다. 어찌 보면 그게 민심의 속성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일 수도 있겠다. 사실 이런 특성은 비단 월드컵에서만 아니라 우리의 정치현상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한국인에 익숙한 민주주의, 그리고 정치발전의 향방은 바로 여기에서 찾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져준다. 지난날 탄핵파동이나 그간 선거과정에서 보여준 민심의 소재를 보면 그 실체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결국 정치권이 국민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이유가 자명해진다. '정치는 이미 죽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치권이 오만한 나머지 민심을 무시한 탓이다. 감동을 주는 정치, 그래서 희망을 주는 정치여야 한다. 단언컨대 선거 때 국민들로부터 몰매를 맞고도 달라지지 않거나 몰표를 받았다고 해서 자만하다간 더 큰 화를 입게 되리라는 것은 정해진 이치다. 전 국민의 성원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태극 전사들이 끝까지 행복해져야 하는 이유는 축구가 지닌 감동성에 있다는 사실을 곱씹어 봐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