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용 대전대 교수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가 온 국민의 기대 속에 출발했다.

국민과 함께 하는 민주주의, 더불어 사는 균형 발전 사회, 평화와 동북아 시대 등 3대 국정목표와 함께 원칙과 신뢰, 공정과 투명, 대화와 타협, 분권과 자율 등 4대 국정원리를 천명한 '참여정부'는 어는 때보다도 젊고 패기 있는 대통령이 이끈다는 점에서 기대가 남다르지 않을 수 없다.

국·내외적으로 산적한 일들을 하나하나 풀어 '평화와 번영과 도약의 시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통령의 굳은 의지가 변함 없을 때 가능하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대통령 취임에 축하와 함께 새로운 희망과 기대에 부풀어 있다. 노무현 정부에 바라는 국민들의 희망은 한 마디로 '나라와 국민을 위한 대통령'이 되어 달라는 것이다. 그래서 대통령은 조작된 이성보다 '진실'의 감성으로 국민 속에 들어가 언제나 '국민의 편'에 서서 생각하고 실천해 나갈 때 진정으로 국민이 바라는 대통령이 돼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첫째 신뢰성이다. 우리는 정부수립 이후 어느 대통령에게서도 믿음을 찾기 어려웠다. 이 말은 스스로 국민들에게 불신을 줬다는 의미이다. 한 나라를 이끌 대통령의 말 한마디와 일거수 일투족은 국민들에게 큰 영향을 주기 마련이다. 그래서 대통령은 국민이 믿고 따를 수 있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도력이 필요한 것이다.

둘째 도덕적 무장이다. 이 역시 우리는 역대 대통령들의 비도덕이고 비상식적인 일들을 그동안 똑똑히 보아왔다. 그 어느 대통령도 취임 직후부터 나라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지 않다거나 비양심적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천명한 사람은 없다. 모두가 나라와 국민을 위하겠다고 도덕성을 그 얼마나 강조했던가. 그러나 결국은 온갖 비리를 저질러 국민들을 실망시켰다. 그래서 새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을 거울 삼아 임기 내내 도덕적 무장을 해제하면 안된다.

셋째 편향성의 극복이다. 사상과 이념 또는 어떠한 일에도 조화가 뒤따라야 한다. 극과 극이 상치되는 편향성에는 언제나 대립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대통령의 생각과 지도력이 한 쪽으로만 쏠린다면 그 무게는 균형을 잃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조화란 결국 편향성의 극복에서 나오기 때문에 대통령은 어떠한 경우에도 편향보다도 조화를 중시해 불만과 권력지향이 없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국민을 '하나'로 보아야 한다. 그동안 우리는 경상도다, 전라도다, 충청도다 하여 어떠한 일이건 지역주의에 편승해 그 목적을 이뤄내고자 했다. 망국론의 첫째 조건이 지역주의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역대 대통령들은 말로는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면서도 그 색깔은 지우지 않아 국민통합이 아닌 분열만 조장해 왔다. 그래서 새 대통령은 국민을 '하나'로 보고 능력 위주로 지역주의를 타파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눈을 읽기를 기대한다. 국민의 눈이 불안한 눈빛인가, 아니면 안정된 눈빛인가 하는 것은 대통령의 사고와 정책에 있다. 국민 모두가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 새 대통령은 국민의 눈을 제대로 읽어 대처할 때 '성공한 대통령'이라고 존경하지 않겠는가.

오늘의 감동이 5년 후 퇴임 때까지 똑같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