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구도심권 활성화 노력이 기지개를 켜게 됐다.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특별조례가 엊그제 시의회 산업건설위를 통과한 데 이어 오는 27일 본회의 의결이 예정돼 있어 앞으로 지자체의 행정 및 재정적인 특별 지원이 가능케 됐다. '원도심 활성화 및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은 동구와 중구 39곳에 한정돼 있어 이들 수혜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성남, 부사, 목동, 용두동 등 인접지역의 형평성 논란이 예상되고 있지만, 그 내용이 파격적이다.

이 조례안은 해당 지역에 대해 건축밀도 완화 등 행정적인 지원과 함께 타 지역업체가 입주할 경우 임대료를 지원하는 내용 등도 담고 있어 기대를 걸어 봄직하다. 때마침 정부가 시내 전역을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하려던 당초 방침을 바꿔 서구와 유성구에 한정한 것도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선 크게 다행한 일이다.

구도심권 활성화를 위한 시책이 점차 성과를 거두고 있는 시점이다. 구도심 공동화의 척도로 인용되는 건물 공실률(空室率)이 지난 99년 말 15.8%에서 이듬해 9.6%로 줄었으며 2001년 말에는 8.7%까지 낮아졌다. 최근 선화, 은행, 대흥동 일대 음식점들이 속속 리모델링과 매장 확장 등을 통해 거듭나고 있는 것만 봐도 구도심권이 되살아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둔산지역 음식점의 U턴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중구지역에 들어선 음식점만 1000여곳을 헤아리게 됐다. 둔산지역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하고 고객이 꾸준한 구도심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선회한 것 같다. 점차 회복세로 돌아선 구도심권이 향후 특별조례의 시행으로 탄력이 붙게 되면 얼마든지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특별조례 제정만으로 안도하기보다 적극적인 인구 유인책을 동원해야 한다. 갤러리아백화점 동백점이나 구(舊) 대전백화점 등 구시가지가 신세대를 겨냥한 패션 특화거리로 변신하면서 구도심 활로의 계기가 됐던 점을 관심사로 삼아 봤으면 한다. 대전시가 으능정이 거리를 청소년 문화거리로 조성한 것도 긍정적이다. 그러나 으능정이 거리엔 청소년들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문화시설은 전무한 상태다. 이 거리가 단순한 소비를 위한 거리로만 기능하기보다 문화공간을 적극 유치함으로써 명실공히 청소년들 차지가 되게 해야 한다.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데도 뜻을 모아야 한다. 물론 특별조례에 재래시장 활성화 문제가 포함돼 있지만 대전 특유의 전통이 살아 숨쉬는 재래시장이 활력을 되찾을 때 구도심이 옛 영화를 되찾게 되리란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