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공급 이어지는 세종 비해 대전, 재개발·재건축에만 치중
인구 감소세…'특단 대책' 시급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대전시와 세종시의 주택공급 양극화 현상이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세종은 신도심 내 택지가 확보된 가운데 지속적인 신규 공급이 이뤄지고 있지만 대전은 조합원 물량이 대부분인 재개발·재건축에 치중돼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주택공급 양극화는 대전 시민들의 '인 세종'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대전의 인구가 줄어드는 인구감소 문제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인구유출의 원인 중 하나인 주택공급과 관련,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5일 부동산 업계 등에 따르면 연내 세종시에 공급되는 아파트는 약 5000가구다. 당장 내달 24일 세종 신도심 내 4-2생활권에 3256가구 분양이 예정됐다. 4-2생활권은 LH와 민간 사업자가 공동으로 공급하는 민간참여 공공주택 아파트로 3개 공구 내 5개 블록이 동시분양에 나선다.
 
반면 대전은 올해 약 6000세대의 신규 공급이 예정됐다. 수치상으로는 세종시보다 약 1000세대가 많은 물량이지만 대부분이 도시정비사업이라는 점. 우선 배정되는 조합원 물량을 제외하면 일반세대 공급량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나마 지난달 분양을 마친 대전 아이파크 시티가 2560세대를 신규로 풀었고 내달 중촌동 푸르지오가 800세대를 공급할 예정이지만 세종시와 비교해 턱 없이 부족한 수치에 그친다.

장기적으로 내다 보면 이 같은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세종시는 1·2·3생활권 내 입주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면서 남은 4·5·6생활권의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추가 공급 물량이 약 8만 가구에 육박한다.

반면 대전은 도안 신도시 이후 신규 택지 개발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신규 아파트 공급은 재개발·재건축에 기대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에서는 재개발 60개소, 재건축 30개소 등 90개소의 정비사업이 지역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중 탄방동1구역(숭어리샘), 목동3구역, 도마변동8구역, 신흥3구역 등 착공 전 마지막 행정절차인 관리처분인가를 승인받아 분양 가시권에 든 4개 구역에서 6400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그러나 도시정비사업 특성상 기존 원주민이 조합원으로 재정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신규 인구 유입에 대한 기대가 어렵다.

이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전 지역 내 신규 공급에 대한 갈증이 해결되지 않는 한 대전시민들은 짐을 싸고 세종으로 넘어가는 악순환이 계속될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구관련 지표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3월 국내인구동향'에 따르면 1분기 세종지역 인구는 7826명 순유입됐으며, 대전은 3785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신규 아파트 공급에 대한 갈증이 해결되지 않는 한, 150만 인구 붕괴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인구수가 회복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세종시는 2016년부터 지금까지 미분양 제로를 유지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최다 공급량을 보여주고 있다"며 "대전이 이를 따라갈 수 없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다면 인구 급감으로 인한 광역시의 지위를 잃게 될 것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택공급과 관련 특단의 대책이 마련하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