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시·도가 수소차 보급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친환경 차량으로 각광 받고 있는 추세인데다 '수소경제'의 기술 선점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와도 연계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아직 초창기인 탓도 있지만 충전소 확충 등 관련 인프라 구축은 턱 없이 부족해 결국 수소차 보급의 발목을 잡을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고부가가치의 신성장산업 기반 구축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대전시의 경우 지난해 수소차 65대를 보급한데 이어 이달에 155대를 추가 보급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대전시에는 수소차 1045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충전소는 지난 2월까지 완공할 계획이었으나 공기가 늦어지면서 아직도 건립 중이라고 한다. 강원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차량 1대당 3550만원(국비 2250만원+시비 1300만원)을 지원하면서까지 수소차 보급에 나선 대전시의 입장이 난감해졌다. 현재 공사 중인 충전소가 다음달과 7월 준공될 예정이어서 그때까지는 다른 시·도의 충전소까지 가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할 처지다.

우리나라의 수소 인프라는 열악하기 짝이 없다. 전국의 충전소가 고작 16개소에 불과하다. 일본은 2020년 수소차 대중화를 목표로 수소충전소가 지난해 기준으로 113개소다.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 시대를 설정한 중국 또한 무서운 속도로 수소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2013년 수소차 상용화에 성공하고도 세계 인프라 경쟁에서는 뒤로 쳐지고 있어 안타깝다.

정부는 수소충전소를 2022년까지 310개, 2040년까지 1200개로 확대한다고 한다.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목표를 지난 1월 '수소경제 로드맵'에서 제시했다. 규제 샌드박스 승인 첫 사례로 도심지역 수소충전소 설치를 허용했다. 수소 충전소 지원금 상향과 함께 충전소 관리도 제대로 이뤄져야 하겠다. 후속 조치에 차질은 없는지 면밀하게 따져 대처할 일이다.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정비와 더불어 시장 수요 창출을 위한 대책이 맞물려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