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묻고 교육이 답하다>
대전, 공공·사설 모두 빌려도
수영장 한곳당 학생 1천명 이상
생존수영 예산, 운영비로 사용
수업대상 느는데… 인프라 정체


<글싣는 순서>
上. 새로운 출발선상 위 아이들
下. 교육인프라는 여전히 미흡


[충청투데이 윤희섭 기자] 세월호 참사 이후 5년이 지났지만 생존수영 교육 인프라는 여전히 태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수요와 프로그램은 확대되고 있지만 이를 수용할 시설이 없는 교육 당국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15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초등수영실기교육인 생존수영 수업은 올해 초등(특수)학교 3~5학년 전체 4만 1000여명이 대상이다. 대전지역은 2015~2016년 3학년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시작해 2017년 3학년 전체학교, 지난해 3~4학년 등으로 확대해왔다. 세종은 1만 1451명, 충남은 10만 2000명으로 시행초기보다 대상인원이 크게 늘었다.

문제는 이를 수용할 인프라 구축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다. 우선 대전시교육청 보유 수영장이 단 3곳에 불과했으며 세종시교육청은 2곳, 충남도교육청은 11곳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은 △대전여고 △선화초 △성모초·성모여고 등 3곳과 현재 공사 중인 대전탄방중, 남선중 등 2곳이 계획대로 각각 오는 7~9월, 11월 중 완공될땐 총 5곳이다. 이외에 지역내 공공·사설수영장은 동구 4곳, 중구 5곳, 서구 11곳, 유성구 12곳, 대덕구 4곳 등 36곳으로 파악된다. 이들 36곳과 모두 대관 계약을 체결했을때도 수영장 1곳당 1000명 이상을 수용해야 한다.

향후 생존수영 수업 대상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지만, 지금도 공공 수영장의 경우 생존수영과 성인 프로그램이 같이 진행돼 강사의 목소리가 학생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거나 민간에서 민원이 들어오기도 한다. 또 수영장별 레인도 1~2개에 불과해 원활한 교육진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전지역 생존수영 교육에 필요한 예산은 교육부·교육청·시청이 22억 3900만원을 분담하지만 이는 공공·민간시설과 계약 형태의 운영비로 사용될 뿐 인프라 확충과는 관련이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육 당국은 생존수영 대상을 지속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두고도 인프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군다나 시설이 확충된다 하더라도 유지·운영에 소요되는 재원 마련도 문제다. 수영장 1곳에 인건비를 제외한 관리비에만 1억여원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체 예산만으론 인프라 확충이 힘들다는 것이다.

시교육청 체육예술건강과 관계자는 “생존수영 인프라는 지자체와 유관기관이 힘을 합쳐야 늘릴 수 있다”며 “시설 관리비가 만만치 않기 때문에 학교 자체적인 수영장 운영은 어려움이 따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생들의 안전 교육을 우선으로 지역 사회의 배려와 협조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끝〉

윤희섭 기자 aesup@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