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밤 시작된 강원 산불이 막대한 피해를 내고 꺼졌다. 국가재난 사태가 선포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도 크고 작은 화재가 잇따라 발생했다. 강원 산불로 축구장의 740배에 달하는 산림 530㏊를 태웠고, 주택 401채를 비롯해 수많은 축산·농업시설 등이 소실됐다. 강원 산불로 1명이 숨지고 1명은 다쳤고, 수많은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다. 6일 당진시 정미면 한 야산에서도 불이 나 임야 300㎡를 태우고 꺼졌지만, 산 중턱에서 88세 노인이 숨진 채 발견됐다.

역대 최대 규모의 소방장비와 인력이 신속하게 투입돼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국에서 소방차 820대, 헬기 51대가 총동원됐다. 소방공무원과 의용 소방대원, 산림청 진화요원, 군 병력·공무원·경찰 등 민관 협업의 대응력이 돋보였다. 이들은 큰 불을 일단 진화한 후에도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여념이 없었다. 그런 반면 국가재난 사태 앞에서 앞뒤 분간도 못한 채 벌이는 국회의 '네 탓 공방'은 한심하다. 국민의 아픔은 안중에도 없다. 휴가 중 뒤늦게 모습을 드러낸 속초시장 또한 마찬가지다.

이번 산불은 주로 4~5월에 연례행사처럼 발생하는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2005년 4월4일 낙산사를 전소시킨 양양 산불이 전형적이다. 1996년, 2000년, 2017년 강원 산불, 2002년 청양·예산 산불 역시 마찬가지다. 산불 발생 시기는 3∼5월이 58.6%로 가장 많았고, 12·1·2월 22.0%, 6∼8월 10.6%, 9∼11월 8.8% 순이었다. 계절적으로 다발시기엔 집중적으로 화재 예방에 나서야 하고 조기 진화 시스템 상시 구축이 상책이다.

최초 발화 지점과 관련, 전신주로 지목되고 있지만 그간 산불은 논밭두렁 소각 등 입산자의 실화에 의한 산불이 36.1%로 가장 많다. 일반인의 시소한 방심이 큰 재앙을 불러 온다. 일반인의 경각심과 산불 감시, 진화 체제 구축 등 입체적인 전략이 한치도 차질 없이 작동돼야 한다. 졸지에 삶의 터전을 잃은 수많은 이재민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전 국민적인 따스한 보살핌이 절실한 순간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