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권을 비롯해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등 5개 대도시권의 광역교통문제를 총괄하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어제 출범했다. 지자체간 사무조정을 전담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최초 국가기관이다. 지금까지는 시·도를 넘나드는 광역교통의 특성상 인접 지자체 간에 상호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사실상 정책의 시각지대로 남아 있었다. 이제야 광역교통행정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광역교통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교통본부와 국토교통부가 협의를 해왔으나 실질적인 권한과 역할에 한계가 있었고, 대전·세종권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 청주시, 천안시, 공주시 등이 참여하는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다. 세종시는 당초 구상단계부터 국제현상공모를 통해 환상형 분산배치 방식을 채택했다. 국토부가 2007년 수립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은 인접 지자체간 광역생활권을 염두에 두고 있는 만큼 상생발전을 위한 새로운 추진체계가 필연적이다.

당장 세종시를 중심으로 반경 40㎞ 광역도시권을 40분대에 대중교통망으로 연결하는 '행복도시권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이 시험대에 올랐다. 그간 지지부진했던 첨단 BRT 정류장 시범사업을 비롯해 첨단BRT 전용차량 도입, 통합 환승요금체계 등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해낼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 대전광역권 관점에서 본다면 광역권 인구수가 3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들의 상당수가 서로 인접 지자체 경계를 넘어 오가면서 교통혼잡과 주차문제 등을 문제를 발생시킨다.

광역교통위는 권역별 광역교통계획을 수립·추진하고, 그간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던 BRT·환승센터 구축사업 등도 박차를 가한다고 한다. 출퇴근 통행시간 단축, 편리한 환승·연계, 공공성 및 서비스 향상 등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광역교통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 교통시설 확충도 적기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대전·세종권 각 지자체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일이 한둘 아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