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근로자 3명의 목숨을 앗아간 한화 대전공장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5월 로켓 연료 주입 중 발생한 폭발 사고로 근로자 5명이 숨진 지 9개월 만에 또 사고가 발생했지만, 행정안전부와 대전시가 실시하는 ‘국가안전대진단’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지역사회의 우려 목소리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18일부터 오는 4월 19일까지 사회전반 시설물의 구조적결함과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하기 위해 정부의 국가안전대진단 추진에 맞춰 취약시설물을 중심으로 전면적인 안전대진단을 실시한다.

점검 시설물은 지역 내 건축, 생활·여가, 환경, 교통, 보건·복지 등 6개 분야에 걸쳐 약 2000여개소가 대상이다.

하지만 시에서 추진중인 안전대진단은 한정된 기간동안 제한된 인원으로 수천개의 시설물을 점검하다보니 ‘수박 겉핥기식’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흘러 나오고 있었다.

안전 점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던 중 대전지역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14일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폭발과 함께 불이 나 공장 내부에 있던 근로자 3명이 숨졌다.

슬라이드뉴스2-한화대전공장폭발.jpg
▲ ⓒ연합뉴스
이에 시는 부랴부랴 소방본부와 전문가 등이 합동으로 팀을 구성해 특별점검 계획을 세웠고 19일부터 이틀간 진행할 예정이다.

문제는 한화 대전공장에서 지속적인 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가안전대진단’ 시설물 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화 대전공장은 국가방위와 관련된 군수품을 생산하는 ‘방위산업체’라는 이유로 접근히 막히면서, 그동안 시는 안전점검 등 관여를 전혀 하지 못했다.

이를 두고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한화공장에 대한 더욱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사실상 잇따른 사고가 발생한 한화공장이 대전에 위치해 있지만 시는 어떠한 점검도 할 수 없는 셈이다.

더욱이 이번과 같이 사고가 발생한 이후 긴급 점검이 이뤄지는 것 처럼, 사고 발생이 없다면 사전 점검자체를 전혀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시민들과 지역사회 등은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한화공장에 대해 날센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는 성명을 내고 “한화 대전공장은 9개월 만에 8명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지만, 방위산업체라는 이유로 접근을 막고 국가안전대진단 대상에서도 제외됐다”며 “이번 폭발사고 역시 기밀공정이라며 정보를 제한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시는 한화공장 시설물은 관리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안전점검 관리에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내놓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한화 대전공장은 방위산업 소속으로 분류, 쉽게 말해 라인(관리하는 주체)이 틀리기 때문에 그동안 지자체는 점검을 하지 못했다”며 “이번 합동점검을 통해 위험요소를 차단하는 등 앞으로 지역 내 시설물에 대한 점검을 지속 펼쳐 안전한 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