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수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장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사업이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 중 하나로 확정되자 시내 곳곳엔 환영 플래카드가 걸렸다. 그 동안 타당성 검증에 장기간이 소요돼 지체됐으나 본격적으로 착수할 수 있다는 시민들의 기대감이 높아졌다.

트램이 포함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사업은 1996년부터 23년간 지연돼 대전시로선 꼭 해결해야 할 숙원사업이었다. 대전 트램 사업은 정부청사에서 서대전, 가수원을 거쳐 정부청사로 돌아오는 순환형 도시철도이며 정류장은 36개로 총사업비는 7000억원 규모다.

시내에 트램이 생긴다는 얘기는 2014년부터 돌았다. 2006년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된 후 8년, 1996년 처음 도시철도 1·2호선 개통을 계획한 시점을 기준으로는 18년 만에 나온 얘기다. 이후 예타가 면제돼 사업이 물꼬를 트기까지는 꼬박 5년이 더 걸렸다.

대구(1997년) 인천(1999년) 광주(2004년)보다 늦은 2006년이 돼서야 대전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됐다. 그 사이 2호선 건설 방식은 지하철에서 고가 자기부상열차로, 또 다시 트램으로 바뀌었다. 기나긴 기다림 속에 시민들의 기대감은 꺾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지역간 균형발전과 지방경제가 위기라는 현 정부의 인식에 따라 예타가 면제되면서 비로소 정상궤도로 진입하게 된 것이다.

대전시는 현재 설계비 50억원을 이미 확보한 상태이며 취업 유발효과 9661명, 생산유발 효과 1조 5463억원이라고 밝혔다.

대전 경제계는 월평공원 등 현안사업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큰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트램역을 중심으로 한 주택공급과 개발도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또 과거 도시철도 1호선 건설당시 수도권 업체가 독식한 상황을 미리 방지하고 이번 2호선 사업만큼은 지역업체가 60%이상 참여해서 오랜 숙원사업이 실질적 혜택으로 지역경제에 녹아들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이 시점에서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적인 트램건설이다. 이는 대전시민들의 교통편의는 물론 삶의 질과도 직결되는 중대한 사업이다.

일각에선 효율적인 대중교통 체계에 대한 의문점을 지적하고 도심 혼잡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대전의 장기발전을 위한 중요한 사업이라는 인식을 공감하여 사업의 정상추진을 위해 시민 모두가 협력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