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서도 고용한파가 거세지고 있다.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실업자가 1년 전보다 20만4000명 늘어난 122만4000명으로 1월 기준으로 19년 만에 최대치다. 실업률도 1년 전보다 0.8%포인트 높은 4.5%로 2010년(5.0%) 이후 가장 높다. IMF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기록들이다. 대전지역 실업률도 5.8%로 전국평균(4.5%)대비 1.3%p나 높다. 지역민 고용체감지수가 그야말로 참담한 수준이다.

일자리의 양적 규모에서도 그렇고 고용의 질 또한 좋지 않다. 우리 경제의 주력산업 경쟁력이 악화되면서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17만명 축소되고 있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지난해 4월부터 10개월 연속 감소세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9000명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일자리 예산을 공공분야에 투입한 결과다.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력의 한계를 보여준다.

건설업에서도 지난달 취업자가 전년 같은 달 대비 1만9000명 줄었다. 2016년 7월 7000명이 감소한 후 30개월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건설 기성 지표가 악화하는 가운데 종합건설 쪽에서 취업자 감소세를 이끌었다고 통계청은 분석하고 있다. 자영업자들의 타격도 크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만9000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2000명이 각각 줄었다. 최저임금 과속인상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취업자가 2009년 12월, 40대는 199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정부는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연간 일자리 창출 목표 15만개를 달성할 방침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취업자가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증가(10만명 이하)에 그친 것에 대해 "엄중한 상황이고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잖아도 경기둔화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수출 부진 등 우리의 대외 경제 여건도 좋지 않다.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산업구조조정과 신산업 육성책을 비롯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장단기 대책을 치밀하게 다듬어 신속하게 대응하는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