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충북에 적용할 아이디어를 발굴하라"고 지시했다. 이 지사는 어제 간부회의에서 "공장, 기업체, 서비스산업 등 여러 분야에 광주형 일자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제통상국에 국한하지 말고 전 실국이 아이디어를 발굴해서 제출하라"고 역설했다. 우여곡절 끝에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되자 '충북형 일자리' 창출을 모색하고 나선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근로자가 동종 업체의 절반 수준 연봉을 받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주택, 의료, 교육 등 복리후생 비용을 지원해 실질 소득을 높여주는 실험적 모델이다. 광주광역시가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만든 것으로 일단 완성차 업체(현대차)에 적용된다. 광주시는 연간 10만 대 규모의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 공장을 세우면 직접고용 1000명을 포함해 1만2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자체들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일자리 창출이다. 경기침체로 성장동력은 약화되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아우성이다. 광주형 일자리의 탄생배경이다. 정부도 훈풍을 불어넣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국 기초단체장 초청 간담회에서 "정부는 어느 지역이든 노사민정의 합의하에 광주형 일자리 같은 사업을 추진한다면 그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한발 더 나아가 상반기에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벌써부터 전북 군산, 경북 구미 등이 후보지로 거론될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충북도가 나선 건 위기의식의 발로다. 이 지사가 TF를 구성하라고 직접 지시할 만큼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무엇보다 충북의 실정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를 찾는 게 과제다. 그것은 지속가능한 아이템 이어야 한다. 일자리 창출이 다급하다고 해서 바늘허리에 실을 묶어 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지역 상공계와 탁상에 마주앉아 머리를 짜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