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유치의향서 조기제출 국내후보지 경쟁 우위선점 계획
올해말 국내 후보도시 확정 2022년 상반기 개최지 결정
기존 시설활용… 비용 최소화 재정문제·경기배분은 과제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2030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나서면서 스포츠의 변방이 된 충청권이 대형 국제대회를 개최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충청권은 조기에 최종 후보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이달 중 아시안게임 유치준비 실무 TF 구성을 비롯해 유치의향서 조기 제출 등으로 국내외에 유치 경쟁을 선점할 계획이다.

‘2030 하계 아시안게임’ 개최지는 오는 2022년 상반기 결정될 예정이며 국내 후보도시는 올해 말 확정된다.

충청권 4개 시·도는 기존 스포츠시설을 활용해 건설 비용을 최소화한다는 복안을 내세우고 있다.

대전시에선 현재 용운 국제수영장, 월드컵경기장 등을 활용할 계획이며 4개 각 시·도에서 총 15개 구장이 현재 상태로 국제대회 운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추가적으로 17개 경기장을 신축해야 하는데 비용은 약 1조 2500억(지방비)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4개 시·도는 아시안게임 유치가 확정될 시 매년 300억~400억원 씩 예산을 마련, 최종 3000억~4000억원을 각 시·도가 부담할 계획이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이달 안으로 유치의향서를 대한 체육회와 아시아 올림픽평의회(OCA)에 제출하고, 연내 국내 후보지로 낙점받을 계획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아시안게임 유치에 따른 구체화된 준비사항이나 확정된 내용은 없다.

슬라이드뉴스1-하계아시안게임.jpg
▲ ⓒ연합뉴스
이에 국제대회 유치에 따른 재정문제와 각 시·도별 효율적 경기 배분 등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저비용·고효율’ 대회를 개최할 수 있다는 명분을 강조하고 있지만, 막대한 예산 확보가 쉽지만은 않다.

과거 ‘2002 부산아시안게임’의 경우 3조 2400억원, ‘2014 인천아시안게임‘은 2조 500억원이 들었다.

이 같이 수조원의 예산이 소요되면서 국제대회 유치에 따른 재정악화를 우려하는 시선이 생겨나고 있다.

실제 2017년 권선택 전 대전시장은 아시안게임 유치를 구상했다가 중도 포기한 전례가 있다.

또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경기장 건립을 위해 1조원이 넘는 지방채를 발행했고, 경기장을 유지하기 위해 연간 100억원이 넘는 세금을 쏟아붓고 있다.

얼마 전 평창동계올림픽을 치른 강원도 역시 1조원이 넘는 빚을 지고 있고 사후 운영에도 심각한 수준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4개 시·도의 효율적인 경기 배분도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개폐회식 있을 메인 경기장을 어느 지역에 건축할 지, 축구와 야구 등 인기 스포츠 종목 유치과정에서 4개 시·도간 치열한 경쟁이 발생할 수도 있어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하다.

한편 ‘2030 아시안게임’은 현재 충청권 4개 시·도가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며, 국내에선 대구시와 제주도, 국외는 필리핀과 UAE, 인도 등이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