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평섭의 충청역사유람] 14 견훤의 최후와 개태사
고려에 패한 후백제 황산벌로 후퇴, 내부분열·사기저하… 견훤마저 투항
장남 신검 항복 장소… 개태사 추정, 견훤 죽음 후 연무읍 언덕에 매장
개태사… 고려 ‘전승기념사찰’ 의미

▲ 윤용혁 교수(공주대), 김갑동 교수(대전대) 등 고려사 전공학자들은 후백제의 신검이 왕건 앞에 무릎을 꿇었던 장소를 금의 연산 개태사가 있는 황산벌로 주장하고 있다. 사진은 개태사 전경. 논산시 제공
고려 태조 왕건은 936년 9월, 마침내 8만 7500명의 대군을 이끌고 후백제와의 최후 결전을 위해 천안을 출발했다. 그런데 의외로 그의 방향은 공주와 전라도가 아니라 경상도였다. 후백제는 당연히 공주 쪽에 주력부대를 배치했을 것인데 후백제의 후방과 측면을 공격함으로써 전선을 흐트러뜨리는 것이다. 그 최후의 결전은 지금의 경상북도 선산에서 벌어졌다. 그러나 결전이라 할 것도 없이 후백제는 바로 무너져버렸고 지금 개태사가 있는 논산시 연산면, 옛 황산벌로 후퇴해야했다.

이렇게 후백제군이 쉽게 패퇴한 데는 내부의 분열과 사기저하가 큰 원인이었다. 우선 후백제를 세우고 기세등등하던 견훤이 고려 왕건에게 투항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렇게도 왕건과는 앙숙이었고 수없이 왕건을 공격했던 후백제의 견훤이 왜 백기를 들고 왕건진영에 들어갔을까?

견훤은 935년 장남 신검을 제쳐두고 넷째 아들 금강을 왕위에 앉히려 했다. 그러자 그해 3월 신검이 아버지 견훤을 지금 전라북도 김제에 있는 금산사에 강제로 유폐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견훤은 기회를 엿보다 3개월 후 금산사를 탈출하는 데 성공했으며 원수이던 왕건에게 항복하면서 아들 신검만 죽여주면 원이 없겠다며 왕건과 함께 후백제 정벌에 나섰다.

왕건은 그를 상부(尙父)라 하여 깍듯이 모셨다. 그러니 왕권을 둘러싼 부자간의 내분에 군사들의 사기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고 진영을 이탈하여 고려에 항복하는 군사들이 계속 늘어났던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신검은 후백제의 중신들을 거느리고 왕건 앞에 무릎을 꿇었는데 윤용혁 교수(공주대), 김갑동 교수(대전대) 등 고려사 전공학자들은 항복한 장소를 지금의 연산 개태사가 있는 황산벌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왕건은 신검이 항복을 해오자 견훤이 바라던 대로 목을 베지 않고 온정을 베풀었다. 아들 신검을 죽여주길 바라던 견훤으로서는 이번에는 왕건에게 배신을 당했다는 생각에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 아들에 이어 왕건에게도 배신당했다는 것에 충격을 받은 견훤은 등창병이 도져 머물던 절에서 숨을 거두었고 시신을 전북 완산이 보이는 연무읍 언덕에 매장했다.

물론 견훤이 죽은 것에 대해 등창병이 도져 죽은 것이 아니라 암살을 당했을 수도 있다는 추리도 있다. 어쨌든 오래 끌어오던 고려 왕건의 통일 성업은 견훤의 죽음, 신검의 항복으로 개태사가 있는 황산벌에서 완성된 셈이다.

그러면 여기서 왕건은 왜 전쟁의 종착역 연산에 개태사를 창건했을까? 고려의 통일을 염원하며 936년 시작된 개태사는 940년 12월에 완공됐는데 이때 태조 왕건이 '낙성화엄법회'를 열고 친히 소문(疏文)을 지어 올렸다고 고려사는 전하고 있다. 그러니까 통일을 위해서 그리고 통일을 완수한 것을 기념하고 앞으로 고려왕조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것이 바로 개태사 창건의 목적이라는 것이다. 김갑동 교수는 개태사의 창건은 곧 '전승기념사찰'의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렇게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개태사가 우리 충남에 있고 고려 왕건 태조의 웅대한 꿈이 서려 있는 곳이 바로 天安임을 생각하면 충남의 역사적 위치가 매우 높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전 세종시 정무부시장·충남역사문화원장>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