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복·유사 지원…효율성↓
기능별 현장중심 정책 절실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대전의 창업기업이 대덕특구라는 연구자원을 바탕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산하기관 들의 중복지원으로 인해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관별로 창업기업에 대한 유사 지원이 많아질수록 육성 순기능이 떨어지는 만큼 체계적인 창업 지원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30일 지역 창업·벤처기업 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대전시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비롯해 중소기업진흥공단 산하의 청년창업사관학교, 시 산하 기관인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이 있다.

이들 기관은 예비 창업자 또는 일정 기간 이내 초기 창업에 대한 육성과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창업 활성화를 주도한다는 목적성을 띠고 있다.

문제는 대덕특구에만 동일한 목적의 기관이 6곳이나 포진하면서 중복 또는 유사 지원책으로 이한 창업 육성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시에서 이들 기관에 대해 일정부분의 지원 예산을 투입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현장과 밀접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스타트업 업계 한 관계자는 “대부분의 기관들이 특구 내 연구 성과물을 발굴하고 상업화 및 마케팅 지원에 나서는 기술이전 사업화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는 탓에 사업 중복 및 혼선 등에 대한 우려가 수그러들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며 “기술 기반 창업의 경우 기술 가치평가와 이전, 라이선싱 등 다양한 분야의 세밀한 지원을 통해 투자기업 매칭이 유도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결국 타 지역 대비 기술기반의 스타트업 수요가 많은 대전지역의 장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선 현장 중심의 지원책 발굴과 함께 산하기관의 기능별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산하기관의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 창업기업이 육성 지원 사업 등을 신청하면 기관 간 중복지원 여부에 대해 확인하기 때문에 유사지원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은 편”이라며 “다만 창업기업의 존속 기간, 세부 적용 기술 등을 기관별로 배분해 특성에 맞는 지원책 발굴 및 육성이 진행된다면 튼실한 창업이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산하기관과 지자체 간 논의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책을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