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에서 충청권은 뒷전으로 밀렸다. 사람·공간·산업 등 균형발전의 3대 전략과 9대 핵심과제에 향후 5년간 국비 113조 원, 지방비 42조 원 등 175조 원을 투입하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비수도권 간에 혜택 범위가 편중되는 경향을 보여 역차별 논란을 빚고 있다. '14개 활력 프로젝트'가 대표 케이스다. 이 프로젝트가 영·호남에 몰리는 바람에 충청권은 단 한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충청 홀대론'이 나오는 이유다.

대형프로젝트에서 충청권이 외면 받고 있다는 지적이 이미 제기됐던 터였다. 그제 나온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에서는 보다 전향적으로 보완될 것으로 기대하는 측면도 있었다. 정부는 각 지역의 산업이 활력을 되찾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5년간 56조원을 투입키로 발표했다. 국가혁신클러스터·규제자유특구 등으로 지역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14개 지역 활력 프로젝트도 포함됐다. 충청권이 활력 프로젝트에서 배제됐으니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주력 제조업 및 고용의 위기 지역에 2022년까지 2만 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활력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명분이야 나무랄 데가 없다. 다만 지역 선정에 있어서 전북,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특정지역에 치우친 나머지 역차별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예컨대 충남 역시 자동차 부품산업에 경고등이 켜진지 이미 오래다. 도의 3대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부품산업이 13개월 연속 '경고'와 '심각' 수준을 거듭하고 있어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처지다.

충청권에도 사안에 따라 위기 지역을 지정, 활력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것이 맞다. 지자체의 중심적 역할 공간을 늘려주기로 한 만큼 충청권에서도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승조 충남 지사는 어제 "산업위기특별대응지역 지정 기준과 위기지역 지정에 따른 장단점을 분석해 시장·군수, 산업계, 도민의 의견을 들어 위기지역 지정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주도로 제안한 사업을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모델이 정착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