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움말=박지원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잠복결핵, 전염력 없지만 치료 중요
전염성 결핵환자 폐쇄·장기간 접촉시
정상 면역 성인 50~60%는 ‘잠복결핵’
5% 정도는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 진행
잠복결핵 진단 시… 예방적 치료 필요
고위험군, 3~9개월간 약물 복용 권유

[충청투데이 김일순 기자]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 1위,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갖고 있다. 경제 수준에 비해 여전히 결핵 후진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잠복결핵’ 양성 판정 뉴스도 종종 나온다. 특히 의료인과 산후조리원 종사자, 교육기관 교사 등의 '잠복결핵 양성 판정' 뉴스는 파장이 크다. 전염력과 증상이 없다고 알려진 잠복결핵의 치료가 왜 중요한지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박지원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결핵 환자와 밀착 접촉한 정상 성인, 50~60%는 잠복결핵으로

결핵 감염은 폐결핵 환자에게서 나온 결핵균을 포함한 비말핵이 공기 중에 떠돌다가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간 후 면역계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면서 일어난다. 숙주의 면역력과 결핵균의 병원력에 따라 일부는 활동성 결핵이 발병하게 되고, 다수는 잠복 결핵 형태로 감염이 일어난다. 잠복결핵이란 결핵에 감염돼 결핵 감염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됐으나 결핵에 해당하는 증상이 없고, 방사선 사진이나 신체에 나타나는 병소도 없으며, 결핵균 검사에서도 음성으로 확인돼 당연히 전염력도 없는 상태다.

전염성 결핵 환자와 폐쇄된 공간에서 장시간 접촉한 밀접 접촉자의 경우 정상적인 면역을 가진 성인에서 50~60% 정도는 잠복결핵으로, 약 5% 정도는 활동성 결핵이 발병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잠복결핵 감염 환자의 5% 정도는 첫 2년 내에 활동성 결핵이 발병할 수 있고, 이후 5% 정도 평생에 걸쳐 활동성 결핵이 발병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어리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활동성 결핵 발병의 빈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결핵을 줄이기 위해서는 활동성 결핵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결핵의 전파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활동성 결핵과 접촉한 대상자를 조사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며, 감염이 확인된 대상자들에게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조치가 함께 이뤄져야 효과적이다. 이러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 치료 대상자가 잠복결핵 감염 환자다. 잠복결핵 감염 검사는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아 잠복결핵의 치료가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개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전염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와 결핵 발병의 고위험군인 △HIV 감염인 장기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거나 복용 예정인 자 △TNF 길항제 사용자 △최근 2년 내 감염이 확인된 경우 등은 잠복결핵 검사 대상자가 된다. 또 결핵균 감염 위험이 높은 의료인과 결핵 발병시 집단 내 전파 위험 등 파급효과가 큰 산후조리원 종사자, 유치원 교사, 집단 시설 거주자 등도 마찬가지다.

◆검사 방법은

검사 방법으로는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TST)와 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IGRA)가 있다. TST 검사는 결핵균의 배양액을 단백 침전시켜 분리한 물질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대상자의 피부의 피내 주입 후 2~3일 후 부풀어 오른 팽진을 재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는 채혈을 해 결핵 항원에 반응해 분비되는 인터페론의 양을 측정해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두 검사는 대상자의 면역 상태나 나이, 결핵 백신 접종의 영향 유무 등에 따라 단독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진단에 사용하게 된다.

◆치료는

잠복결핵 감염으로 진단되면 접촉자, 결핵 발병 고위험군, 발병시 파급효과가 큰 대상자 등의 경우, 예방적 치료를 받을 것을 권유받게 된다. 결핵 치료제 중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약제를 병합해 치료한다. 대상자의 간질환 상태나 나이, 치료 지속 가능 기간, 접촉한 균의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 등에 따라 약제를 결정한다. 약제에 따라 3개월에서 9개월간 약물을 복용한다. 예방적 약물 복용으로 활동성 결핵 발병 확률을 의미 있게 낮추려면 약물 복용을 끝까지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복용시 간독성이나 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면담과 혈액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현재 결핵 관리 사업의 일환으로 잠복 결핵 치료시 발생하는 진료비와 검사비는 전액 국가에서 부담하고 있다.

박지원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활동성 결핵 발병시 증상에 의한 고통과 장기 손상, 다수의 약물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심한 경우 사망으로 이어진다”며 "따라서 잠복결핵 감염시 예방적 약물 복용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충분히 가치 있는 치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