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과학기술 요람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탈바꿈하는 전략이 본격 모색되고 있다. 대덕특구가 탄생한지 46년 동안의 획기적인 연구·개발 성과(R&D)를 바탕으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의미가 막중하다. 대덕특구의 새로운 미래가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가 어젠다 차원의 프로젝트라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대전이 과학기술도시라는 도시 정체성을 확립한 것은 대덕특구와의 연관성에서 비롯됐다. 대덕특구의 역사와 전통 속에서 다져진 연구개발 노하우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선도해왔다는 점에서다. 시민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기에 충분한 요인이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성장 차원에서 지역경제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해선 회의론이 제기돼온지 오래다. 특구가 '대전 도심 속의 섬'에 갇혀 있었던 탓이다. 특구의 가치를 제대로 발현하기 위한 공감대가 마련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럽다.

과제의 핵심은 대덕특구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다. 지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혁신 생태계를 어떻게 구축하느냐에 이 프로젝트의 성패가 달렸다. 저밀도 단지형 모델인 대덕특구를 산학연 협업 및 소규모 창업 지원, 교류활성화를 위한 '고밀도 도시형 혁신공간'으로 재설계하는 것이다. 주목받는 모델로 판교테크노밸리를 꼽는 것도 그래서다. 과기부에 국한되는 사업이 아니고 산자부 등 범부처 협업으로 추진되는 건 당연하다. 이런 전제 아래 올해 예산에 10억원이 반영됐다. 내년 3월까지 마스터플랜이 나온다.

대덕특구가 그간 대한민국 과학의 중심 역할을 해왔듯이 이젠 새로운 국부창출의 전초기지로도 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 특구 내 산학연관 등 참여주체의 이해를 조정해서 공론화를 이끌어내야 하고, 생산시설 구축 및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선 규제완화 등의 조치도 선행돼야 한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를 지향해온 대전시로서는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에 지역의 명운을 걸어야 한다. 장단기별 그랜드 비전이 원활하게 도출될 수 있도록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