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언 기부손길, 한국기부문화 나아갈 방향은]
모금 이후 수혜자 전달까지 비영리단체 '투명성' 확보해야
기부자들 지속적 관심도 필수 "제도적 감시망 강화로는 한계"

글싣는 순서
①모금윤리의 딜레마
②비영리단체와 기부자 함께 변해야

메인01-연합뉴스.jpg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비영리단체의 선순환적 모금행위를 위해서는 외부 감시 체계도 중요하지만 단체 내부의 자정 노력과 함께 모금 배분 과정에 대한 기부자의 관심과 이해가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단체들이 일회성 전시행정에 그치는 투명성에서 벗어나 모금 유입 과정부터 수혜자에게 나가는 과정, 그 이후까지 유기적이고 능동적인 개념으로 기부자의 알권리가 충족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전국의 수많은 비영리단체는 자신들의 ‘투명성’을 보여주기 위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재무관리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이 과정이 단순한 보여주기 식 행정절차에 지나지 않으려면 회계적인 투명성도 중요하지만 기부자가 진정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이 쉽고 정확하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

모금 전문가들은 비영리단체의 투명성에 대해 현재 상태나 결과만 보여주는 ‘정적 개념’이 아닌 기부금 배분 뒤에도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까지 드러나는 ‘동적 개념’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모금 방법, 모금가의 보상 문제, 각종 기부자 불만사항 등 투명성 확보에 대한 개념과 인식이 자리를 잡아야 한다.

이어 이 같은 ‘투명성’ 내지는 ‘윤리성’ 확보를 위해선 불가피한 비용이 수반되는 현실도 단체들이 직시해야 한다. 단체 내부의 윤리의식 개선만으로는 실질적인 자정활동을 이뤄내긴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거액이라면 최소 두 명 이상의 모금가가 해당 기부자를 대면하고 있다. 추가 비용을 들여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비윤리적 상황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는 저비용으로 고효율을 따지는 한국 모금단체들의 정서적 시각과는 차이가 있다. 재정 상태가 열악한 소규모 민간단체의 경우 적은 인원으로 활동하다 보니 모금윤리의 딜레마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자정작용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선 기부자의 지속적인 관심도 수반돼야 한다. 일시적인 기부금 기탁이든, 꾸준한 후원금 납부든 단체의 배분과정을 비롯한 사후관리까지 알권리 충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기부자의 높아진 도덕적 기준과 관심으로 엄격한 감시체계를 들이대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자정작용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오정수 충남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전국의 수천여개에 달하는 비영리단체들을 완벽하게 법적으로 규제해 감시할 수는 없다. 개인적인 사회활동을 막을 길도 없다”며 “제도적으로 잣대를 세워 감시망을 강화하는 것보다 단체와 기부자가 함께 자정 활동을 이뤄내는 것이 바람직한 기부문화의 방향”이라고 말했다.  <끝>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