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관심…4~5곳 최종선정, 세제 감면 등 각종 혜택 풍성
대덕특구와 시너지 만들어야, 특구진흥재단 준비작업 착수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연구개발특구의 신모델인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유치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신설 특구와 기존 대덕특구 간 체계적인 연계협력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소특구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고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로 기술사업화 등 시너지 창출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올해 지역 혁신성장을 주도할 목적으로 도입된 강소특구가 출범한다. 강소특구는 자생·자족적인 지역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해 도입된 새로운 연구개발(R&D) 특구 모델이다. 규모는 작지만 기존 연구개발특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학·연구소·공기업·공공기관 등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지역 혁신성장을 이루겠다는 것이 강소특구의 조성 취지다. 역량만 갖췄다면 규모와 상관없이 특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문턱도 대폭 낮췄다.

지난해 과기정통부가 강소특구 모델 계획을 발표하고 전국적으로 관심을 보이며 유치 경쟁은 이미 예고된 바 있다. 현재 경북 포항을 포함 경남 김해, 양산, 진주, 창원 등 5곳이 강소특구 지정 신청을 완료했고, 충북과 경기도가 신청을 앞두고 있다. 충남과 인천, 서울, 울산, 경북 구미, 전남, 전북 역시 특구 지정을 위한 자체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결과 검토 후 신청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르면 6개월 내 4~5곳을 최종 확정해 지정할 계획이다.

강소특구로 선정되면 특구 내 위치한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의 세제를 감면하고 각종 사업비 지원, 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강소특구 출범이 목전에 다가오면서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연계를 통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소특구 지정 후 클러스터 성장단계부터 상생협력을 통해 조기 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기술 사업화를 희망하는 기업의 수요 파악과 함께 대덕특구 내 수 십년간 구축된 인적·물적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교류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이달 초 ‘강소특구지원팀’을 신설해 지원 준비작업에 착수했지만 아직은 시작 단계다. 강소특구와 과학벨트 기능지구(신동, 둔곡, 도룡지구)와의 연계 방안 역시 아직 구체화된 내용은 없는 상태다.

특구진흥재단 관계자는 “강소특구는 지역 과학기술정책의 일환으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를 해당 지역 기술로 공급하기 위해 출발했다”며 “강소특구의 공공기술을 기존 특구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종 사업들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