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속보>=세종시가 ‘파주국가대표트레이닝센터(NFC)’의 기능을 분산하는 ‘제2트레이닝센터(가칭 축구종합센터)’ 유치경쟁 판도를 좌지우지할 핵폭탄의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2018년 10월 24일·11월 26일자 15면 보도>

최소 규모 사업비, 최상의 입지·훈련(유소년 교육) 여건 제공부터 향후 행·재정적 지원정책 강화, 소속 직원 일등급 복지정책까지. 최상급 제반여건이 담긴 특급 제안서를 앞세워 최종 입지 선정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대한축구협회를 자극하겠다는 전략적 승부수가 주목을 불러일으키면서다.

대한축구협회는 최근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 건립을 위한 부지 공고안을 발표했다. 파주NFC의 기능을 확대하는 시설인 ‘가칭 축구종합센터’의 건립 프로젝트는 2021년 착공, 2023년 완공 시나리오를 품고 있다. 부지 규모는 파주NFC의 3배인 33만㎡(약 10만평)으로, 1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타디움과 천연잔디 축구장 10면, 인조잔디 축구장 2면, 풋살구장 4면, 체육관, 수영장 등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 축구과학센터, 축구박물관, 사무동, 컨벤션 등을 갖추게 된다. 건립 예산 추정치는 1500억여원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 경쟁은 한층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현재 충남 천안을 비롯해 경기 김포·이천·화성시, 전북 전주 등 전국 20여개 지자체가 유치경쟁에 뛰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은 최근 열린 ‘세종시 축구인의 밤 행사’에서 최종 입지 선정의 결정적 힌트를 제시했다.

무엇보다 최소 규모 사업비 등 한층 업그레이드 된 공격적 유치 조건 제시가 축구종합센터 유치의 열쇠가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정 회장은 “세종은 좋은 후보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교통 인프라를 넘어, 결국 부지 비용 등 지자체의 지원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자세한 예산분담 비중은 유치위원회에서 정하게 된다”고 말했다.

자리를 함께한 홍명보 대한축구협회 전무는 정 회장의 의중(意中)을 구체화했다. 홍 전무는 "조성 사업비 규모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부지 비용이 매우 중요하다. 예산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곳에 높은 점수가 주어질 것"이라고 못박았다.

세종시가 이 틈을 노린다. 시가 제안서에 담은 축구종합센터 입지는 신도심(행복도시) 최인접 지역인 장군면 특정 부지(20만평, 500~600억여원 규모). 시는 가장 먼저 기존 기부체납 후 임대방식(파주 NFC)의 부지제공이 아닌 신도심(행복도시) 인접 ‘장군면’ 특정 부지를 대한축구협회로 넘기는 조건을 제안서에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장군면은 서울~세종 고속도로 나들목과 가까우면서, 센터 조성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상급 입지라는 점에서 대한축구협회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핵심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최소규모의 부지비용과 함께 사실상 기초공사가 완료돼 조성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부지를 오롯이 대한축구협회의 재산으로 안겨줄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시는 센터입지 주변(10만평 규모)을 시민 편의시설로 조성하는 안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여기에 입지여건, 주변환경, 교육훈련 등 최상의 제반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 향후 지원정책, 협회 인력 복지 정책이 제안서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행정수도 완성 등 미래가치 △ 사통팔달 전국 2시간 대 생활권 △대전월드컵경기장 연계성 △청주공항 접근성 등이 세종시가 유치경쟁 주도권을 거머쥘 수 있는 이유로 부각되고 있다.

숨고르기를 이어가고 있는 세종시는 오는 11일 제안서 접수와 함께 ‘범시민유치추진위원회 발족’ 등 공격적 유치활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당장 목표는 이달 중 발표되는 우선협상 대상 기관 선정이다.

시 관계자는 “세종은 향후 미래 가치에서 월등하다. 경쟁력이 있다. 가장 큰 쟁점은 사업비 절감”이라면서 “그동안 물밑에서 움직였다. 제안서 제출과 함께 시민 및 세종시의회 공감대 형성을 시작으로 총력을 다해 유치경쟁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축구협회는 최종 입지 발표 시점을 당초 2월에서 3월로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 분담비율, 국비확보 규모 등 구체적 지원책을 설정하지 못한 게 입지발표 시점 연기 이유로 알려졌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