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2조 올해 18조로 감소…분양감소·시공권 외주 이중고
생활밀착형 예산비율 높아…지역건설사 참여 및 상생방안 필요

[충청투데이 최정우 기자] 기해년(己亥年) 새해에도 건설업계의 악전고투는 지속될 전망이다. 오는 2021년까지 사회간접자본(이하 SOC) 사업예산이 단계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일거리 확보 부재로 인한 기업 운영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1일 기획재정부·지역건설업계에 따르면 '2017~2021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의 SOC예산은 2017년 22조 1000억원, 지난해 19조원, 올해 18조 5000억원으로 서서히 줄고 있다. 이처럼 단계적으로 SOC사업 예산이 부족하게 책정되다보니 ‘건설업계 일감 부재→경영난 가속’의 우려가 업계의 현실로 다가오는 대목이다.

건설경기가 위축돼 사업이 줄어든 악조건인 상황에서 사업예산마저 줄게되면 도로·철도 등 대형토목사업에서 파생되는 작은 일자리마저 줄어들 수 있다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대전지역 현장·본사소재지별 건설업 계약규모는 1년새 1조 6000억원이 감소하면서 위축된 모습을 보여왔다.

더불어 신규발주 및 분양건 감소, 지역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시공권 또한 외지 대형건설사에 내주면서 업계의 먹거리 부재는 현실로 다가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해부터 정부가 생활밀착형 SOC사업예산을 도로·철도 등 대형토목사업 예산 비율보다 높게 책정해 건설업계의 한숨이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이낙연 국무총리 산하 생활밀착형SOC 세부추진단이 꾸리고 있는 생활밀착형SOC 세부투자계획은 오는 3월에야 발표된다.

세부투자계획 발표기간이 늦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계의 참여를 유도할 장치가 부족하다보니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 지역 건설업계의 고충은 날로 거세질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부투자계획 발표 이후에도 실질적으로 사업이 이행되기까지 시간이 더 소요되고 해당 사업들에 대한 세부 내용설명이 부족해 지역건설업계는 대책마련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상생방안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지역 건설업계의 줄도산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한다.

지역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SOC 사업예산이 줄면서 전체적인 건설 수주 건도 감소하는 가운데 그나마 추진되는 소액 일거리마저 건설사 규모와는 상관없이 수주 경쟁을 해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건설업계가 상생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생활밀착형 SOC사업의 기대감은 남아있지만 시행기간도 미지수인데다 관련 사업 설명회 등 문제를 낳고 있어 일거리 가뭄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향토 건설사들마다 민간·주택사업 분야, 공공공사 등에서도 활개를 피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SOC사업의 단계적 예산 감축 등 악재까지 더해져 먹거리 확보(수익 창출)에 적신호가 켜졌기 때문에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향후 3년이내 자생력이 없는 지역건설사의 줄도산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정우 기자 wooloosa@cctoday.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