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단체들 모금대행계약 파문…수수료 과도·도덕성 논란도
대행업체들 실적 압박에 강매도…NGO 관계자 "효율적이라…" 
슬라이드뉴스1-모금함.jpg
▲ 사진 = 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김일순 기자]  #. “거리 모금 대부분이 대행업체를 통하지 그 단체 직원이 직접 하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대전지역 한 구호단체 직원 A 씨는 거리모금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최근 경기도에 위치한 모금대행사로부터 모금 대행 계약을 권유받았다. 대행사가 후원자 모집을 대신하고 모집인원당 일정 금액을 수수료로 지급받는 시스템이라며 수익구조도 설명했다. A 씨는 “대행사에서 모집인원 당 9개월분의 후원금을 수수료로 요구했다”며 “민간 모금단체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며 인력이 부족한 곳들은 대행사를 통해 후원자를 모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말을 맞아 모금활동이 활발한 가운데 일부 NGO 단체들이 거리모금을 위해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대행업체를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계약과정에서 과도한 수수료가 발생하고 실적 압박에 따른 강매와 도덕성 논란까지 기부문화의 본래 취지가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대부분의 민간 모금단체들이 거리모금 등 대면모금을 위해 모금대행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한 아동복지기관은 지난달 29일 ‘대면모금 대행업체 입찰 공고’를 낸 것이 확인됐다. 이에 대행사 5곳이 신청했고 그중 한 곳이 선정됐다. 대행사로 선정된 B사는 외국계 기업의 모금대행사로 아시아 전역의 국제 및 지역 자선 단체·비영리 단체(NGO)들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영리 단체들은 대면모금을 통해 후원자를 확보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거리모금’과 모바일 기기를 통한 ‘D2D모금’이다. 

한 지역 NGO단체 관계자는 “이름만 대면 알만한 국제구호단체부터 소규모단체까지 대부분 대면모금에 대행업체를 끼고 있다”며 “대면모금은 불특정 다수를 상대하기 때문에 인력소모와 유지비용이 상당하다. 따라서 대행사에 맡기는게 효율적일 수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문제는 계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수수료다. 계약방법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보통 대행사가 물품 및 거리 판넬 설치 비용 등을 선투자한 이후 모금액 중 일정 비율을 가져가는 방식이다. 후원자의 후원금이 100% 어려운 이웃이나 난민에게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실적 압박을 전제로 투입된 대행 인력들이 모금활동에 있어 과도한 호객행위를 하거나 강매할 수도 있어 윤리적 문제로 비화할 수도 있다. 아울러 어려운 환경에 처한 이들을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낸 후원금 중 일부가 대행업체들의 주머니로 흘러 들어간다는 점에서 도덕성 논란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B사는 구체적인 계약 조건에 대해서는 ‘고객에 대한 기밀’이라며 답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B사를 선정한 해당 아동복지기관 관계자는 “우리뿐 만이 아닌 거의 대부분의 NGO단체들이 마케팅협력사와 공생관계를 맺고 있을 것”이라며 “최근 기부문화가 확산되면서 모금대행사 역시 급증했다. 대행업계의 ‘레드오션’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고 말했다.  

김일순·최윤서 기자 ra115@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