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으로 문화도시 공모 사업에서 대전시는 탈락한 반면 천안시와 청주시는 선정됐다. 선정된 10개 도시는 내년 1년간 예비사업을 추진하며 추진실적 평가 후 심의위원회 심사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을 받는다. 대전이 아직도 '문화의 불모지'라는 오명을 벗지 못한 셈이어서 씁쓸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건 문화도시의 개념을 지역문화에 바탕을 두고 정의했다는 점이다. 지역별로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느냐에 주안점이 있다. 시민이 공감하고 즐기는 지역문화인가.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체제로 승화시킬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이번 공모에는 19개 지자체가 공모에 참여한 결과 10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대전에서는 대전시와 동구가 동시 참여했다. 같은 광역시와 기초지자체가 공모에 참여한 것은 이례적이다.

대전시 문화행정의 전략적인 미스를 지적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물론 같은 지자체 내에서 몇 개 사업을 한꺼번에 신청할 수는 있을 것이다. 대전시가 됐건 동구가 됐건 둘 중 하나만 되면 되는 게 아니냐는 요행수가 작용했다면 그야말로 오산이다. 전국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뛰어든 마당이어서 어느 때보다도 지역이 '선택과 집중'의 논리로 준비하는 자세가 절박한 상황이었다. 문체부가 신청도시 19개를 대상으로 문화도시 추진 필요성 및 방향의 적정성, 조성계획의 타당성, 문화도시 실현가능성, 지자체 간·관련 사업 간 연계와 협업 등을 집중 심사했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문화는 도시의 품격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다. 문화란 바로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이 서린 삶의 양식이기 때문이다. 지역민들이 자긍심을 느끼면서 고품격 문화를 향수하는 것도 그래서다. 도시 브랜드, 도시의 경쟁력과도 연계된 주제다. 대전이 문화도시라는 막연하고도 추상적인 발상으로는 어림도 없다. 차별화된 문화콘텐츠로 지역민의 참여와 공감까지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정서에 흐르고 있는 역사와 생태 그리고 그 이상의 공감 자원을 실재화(實在化)하는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