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이슈] 
타지역 특구 속속… 위상 흔들, 정부 특구 지정 문턱 더 낮춰
벤처기업 증가… 대전은 감소, 대전시 “활성화 방안 찾을 것” 
메인01.jpg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5년 뒤 반세기를 맞이하는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가 효율적인 인프라 미비와 인재 유출로 입지가 흔들리고 있어 미래 50년을 위한 신(新)성장동력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전국에 연구개발특구가 우후죽순 조성되고 연구기능이 수도권에 집중되기 시작하며 ‘과학도시 대전’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덕특구는 대덕연구단지로 1992년 준공돼 연구개발·생산·상업화를 포괄한 과학기술거점으로 포문을 열었다. 이후 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되며 신기술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 확산으로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출범했다. 연구단지를 핵심 축으로 한 대덕특구는 우리나라의 과학 중심지로서 굳건히 자리하며 위상을 떨쳐왔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유일무이했던 대덕특구의 굳건한 위상도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했다. 광주·대구·부산·전북 등 전국에 연구개발특구가 속속 들어서면서부터다.

지난 5월 정부는 연구개발특구 제도를 개편해 R&D 역량만 갖추면 규모에 상관없이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받을 수 있는 ‘강소특구 모델’ 방식으로만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되도록 제도를 바꿨다. 문턱을 더욱 낮춘 것이다. 이에 경북도가 지난 13일 기다렸다는 듯 처음 도입된 강소연구개발특구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청했고 현재 충북도 준비 중이다.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위용을 자랑하는 판교는 네이버·다음·카카오 등 국내 대표 IT기업 유치는 물론 지난해 연매출이 80조원에 달하며 내년과 2023년 각각 제2·제3 판교테크노밸리 완공을 앞두고 있다. 최근엔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지원하는 ‘마곡지구’ 역시 집적효과를 노린 연구개발 기업이 몰리고 있어 주목을 받는 상황이다. 지역에 있는 연구시설 간 접근성 한계를 지닌 민간기업들이 서울에 위치한 마곡지구에 연구원을 이전·유치하며 시너지를 누리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을 감안하면 대덕특구의 ‘과학기술 1번지’ 타이틀도 옛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전국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벤처기업 수는 아이러니하게도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에서만 급감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타 지역들과 비교가 되고 있다.

일명 ‘탈(脫) 대덕’ 현상의 주요인 출연연 분원에 따른 연구인력 유출과 비효율적인 토지사용 역시 어제 오늘 일의 아니다. 대덕특구가 전반적으로 침체기에 빠지자 명맥을 유지하기 하기 위한 과학도시 대전의 고민 또한 깊다.

시 관계자는 “대덕특구에 활성화를 불어 넣기 위한 역점사업 리노베이션 관련 예산을 최근 확보한 바 있다”며 “그간의 특구 현황과 문제를 분석·검토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전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