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사람을 가리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첫째는 신(身)이니, 풍채가 건장한 것을 말한다. 둘째는 언(言)이니, 언사가 분명하고 바른 것을 말한다. 셋째는 서(書)이니, 필치가 힘이 있고 아름다운 것을 말한다. 넷째는 판(判)이니, 글의 이치가 뛰어난 것을 말한다. 이 네 가지를 다 갖추고 있으면 뽑을 만하다.

신언서판(身言書判)의 신(身)이란 관상(觀相)을 일컫는다. 사람의 관상을 볼 때 포인트는 눈에 있다. 정기(精氣)가 눈에서 표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눈빛이 형형하게 빛나면 총기는 있지만 장수(長壽)는 못한다고 본다. 관상을 볼 때 또 하나의 포인트가 찰색(察色)이다. 얼굴의 색깔을 보는 것이다. 얼굴 생김새와 윤곽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만 얼굴은 색깔은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한다.

신 다음에는 언(言)이다. 언어란 그 사람이 말을 얼마나 조리 있게 하는가를 보는 것이다. 조금 깊게 들어가면 목소리의 색깔을 분석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관상불여음상(觀相不女音相:관상보다 음성이 더 중요하다)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목소리는 인물 됨됨이를 판단할 때 근본적인 자료로 판단된다.

서(書)는 글씨다. 좁은 의미로는 글씨체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문장력을 말한다. 요즘이야 붓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자판을 통해 글을 쓰는 세상이라 글씨체는 별 의미가 없다. 대신 문장력은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판(判)은 두 가지 차원이 있다. 하나는 이판(理判)이고 하나는 사판(事判)이다. 이 둘을 합쳐 흔히 ‘이판사판(理判事判)’이라고 한다. 이판사판은 불교의 ‘화엄경’에서 유래했다. 불교경전 중 최고의 경전이라 일컬어지는 화엄경에서는 인간사의 범주를 이(理)와 사(事)로 파악한다. 이는 본체의 세계이고 사는 현상의 세계다. 이(理)는 눈에 안 보이는 형이상(形而上)의 세계이고, 사(事)는 눈에 보이는 형이하(形而下)의 세계이기도 하다. 이름하여 선사판(先事判) 후이판(後理判)이다.

국전서예초대작가·청곡서실운영, 前대전둔산초교장 박일규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