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기업은 46개서 25개로, 지자체 지원금 부족 호소, 대기업 매칭 판로확대 필요

사회적기업육성.jpg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일자리 부족과 내수부진 등의 문제를 사회적 경제 개념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기업’이 대전지역에서 좀처럼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관련법 및 지원체계 보완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건전성을 강화함으로써 사회 공헌은 물론 이들 기업의 고용 및 소득효과 결과로 이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대전시와 대전사회적기업협의회 등에 따르면 현재 대전지역 사회적기업 수는 모두 85개사로 최근 5년간 10개사가 증가했다.

사회적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정한 인증요건을 갖춘 후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인증 기업에 대해선 인건비 및 4대 사회보험료 지원, 경영지원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문제는 이 같은 인증 사회적기업으로 넘어가기 위한 예비 사회적기업의 수가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유승민 사회적경제연구원 이사장이 발표한 ‘대전지역 사회적 경제 실태’ 자료를 보면 예비 사회적기업 수는 최근 5년간 46개에서 25개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체계가 부실한 탓이란 것에 기인한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원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기업 건전성이 안착되지 못하면서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등이 이뤄지지 못하는 셈이다. 특히 예비 사회적기업의 경우 지자체의 각종 지원금에 대한 의존이 큰 상황이지만 일선에선 지원금 부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지역의 A사회적기업의 경우 올해 중순 경 시로부터 받는 지원금이 줄어들면서 운영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시의 사회적 기업 추가 모집으로 인해 예산이 분산되면서 예비 사회적기업에 지급돼야 할 지원금이 미뤄졌다는 게 A기업 측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구매 확충 등 시장 창출을 통한 간접지원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 관계자는 “사회적 경제에 기여하는 이들 기업의 이익 창출을 위해 지자체는 기존의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형태 대신 중견 및 대기업과의 매칭을 주선함으로써 판로가 확대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생존율이 확보된다면 앞으로 사회적기업 전환을 원하는 기업문화가 정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사회적기업의 업종이 식품제조가공 또는 유통업에 집중돼 있어 고용효과 및 경제적 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어렵다”며 “대형 제조업 등의 사회적기업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사회적 경제 개념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는 각종 지원 및 혜택도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사회적기업=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서비스 제공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뜻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