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역안전지수에서 대전이 특별광역시 중 가장 낮은 등급을 받았다. 대전시는 교통사고, 화재, 범죄, 자연재해, 생활안전 부문에서 각각 4등급을, 자살과 감염병 부문에서는 각각 3등급으로 분류됐다. 가장 안전하지 않는 광역단체로 낙인 찍혔다는 건 수치스럽다. 대전은 정녕 안전 도시로부터 소외된 지역인가. 안전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지역의 최우선 현안으로 삼지 않으면 안된다.

가장 열악한 등급인 5등급 지역을 보니, 교통사고 항목은 대전 동구와 대덕구가, 화재는 중구와 대덕구가, 자연재해는 유성구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3년 연속 상승한 지역은 교통사고의 경우 유성이, 자살은 동구로 지목됐다. 대전이 예년에 비해 획기적으로 안전도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건 시사하는바가 작지 않다.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에 대한 지역의 관심도가 낮고 이를 개선하려는 자치단체의 의지가 부족하다는 방증이다. 대전시는 그간 '안전문화운동 추진 대전협의회’라는 범시민 협의체를 결성, 활동해왔지만 막상 그 결과는 이처럼 초라한 것으로 판명됐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사회 안전을 위협하는 각종 요인을 수치로 계량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 지역이 온통 위험요인으로 뒤덮여 있다고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현대사회는 위험사회라고 지칭한다. 그만큼 도시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다양해졌다. 언제, 어디서 어떤 위험이 닥칠지 모르는 불안과 공포 속에서는 인간이 최소한의 행복추구권을 보장받았다고는 할 수 없다.

도시의 경쟁력은 쾌적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안전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진정한 도시 브랜드가 바로 이로부터 창출된다. 세계 여러 도시가 다양한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도입 시행하고 있는 것을 눈여겨 봐야 한다. 국제안전도시로 인증 받는 제도도 그중의 하나다. 안전에 대한 국가나 지자체의 예방 및 사후 대처를 위한 제도 완비와 더불어 실천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지속·능동적인 대처능력 또한 한치의 차질도 없어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