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회의소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충남에 들어서는 건 발 빠른 행보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내년 1월 공식 출범을 앞둔 충남 농어업회의소가 어제 창립총회를 열고 차질 없는 추진의지를 다졌다. 지난 2015년 농식품부 시범 사업 공모에 선정되며 설립절차에 들어 간지 3년 만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여러 시·군에 농어업회의소가 운영 중이나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농어업회의소는 아직 전무하다.

농어업회의소란 명칭이 다소 생소하게 들리지 모르나 상공인들의 대의기구인 상공회의소와 유사한 조직체로 보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한마디로 농어민의 권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요약할 수 있다. 도내 50개 농어업인 단체 중 28개 단체와 7개 시·군 농어업회의소가 참여했다고 하니 시작단계 치고 호응이 높다. 농어업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참여 농어업인의 72.3%가 광역 농어업회의소 설립에 찬성했다고 한다.

농어업회의소 설립배경과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7년 현재 대한민국 농가 평균 소득은 3823만원으로 도시 근로자 가구의 64%에 머물고 있다. 젊은이들이 농촌에서 빠져나가면서 충남 도내 농업 경영주의 평균연령이 67세에 이를 만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위기에 처한 농어업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농어업인의 권익을 대변할 기구로 농어업회의소가 떠오른 것이다.

농어업회의소가 제 역할을 하려면 스스로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관주도의 또 다른 단체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지자체와 건전한 파트너십을 형성해 농어업 정책을 자문하고, 다양한 시책을 발굴하는 등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재정적 자립은 농어업회의소 연착륙의 전제조건이다. 역사가 오래된 상공회의소도 재정난을 호소하는 경우를 보아왔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농어업인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동참 여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