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0.25%포인트 올리자 충청지역 가계·개인사업자들이 이자부담 등 향후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은의 금리인상은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 후 1년만으로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장기간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가계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시중의 유동자금은 부동산 시장으로 급격히 몰려 투기를 조장했다. 밖으로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져 자금유출의 가능성이 대두된 터였다.

금리인상은 양날의 칼과 같다. 경기침체 국면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킬 소지가 있다. 경기 하강국면에 들어갔음을 여러 지표가 말해주고 있다. 통계청의 '2018년 10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현재의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5월 이후 최저치다. 3~6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경기선행지수 역시 2009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내년 경기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가장 우려되는 건 가계의 이자 부담이다. 지난 9월말 현재 가계부채는 1500조원을 넘어서 비상이 걸렸다. 기준금리 인상은 시중금리 인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가계의 이자비용 상승으로 귀결되는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은행에서 돈을 빌려 쓴 저소득층의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금융권 이용자는 타격이 더 크다. 충북지역의 경우 가계부채 22조원 중 11조8600억원이 제2금융권 부채다. 한은은 가계부채 위험 가구가 127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자영업자와 기업들에겐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운영을 해도 적자를 보는 중소기업이 20만개나 된다. 중소기업의 14%는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이다. 원리금 상승 부담이 줄 폐업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게끔 선제적 조처를 해야 한다. 금리인상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소홀히 했다간 엄청난 후폭풍을 맞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