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부활 반복돼 온 전철 이번 도입 시도…공감대 부족
영남 출신인 점도 문제제기 “역량 갖춘 인사 임명한다면 순기능 작용 가능성 충분”

대전상공회의소.jpg
▲ ⓒ연합뉴스
지역 상공계의 번영과 발전을 위해 부활이 가시화됐던 대전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제도가 무위로 돌아가면서 향후 행방에 지역 경제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상근부회장직 부활에 대한 당위성 확보 등을 통해 대전상의 조직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로 변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우선 이번 상근부회장제 부활에 대한 논란은 크게 2가지로 압축된다.

과거부터 폐지와 부활을 반복했던 자리가 또다시 부활하게 된 배경과 임명 예정자가 돌연 직을 고사한 이유다. 대전상의 상근부회장직은 1998년 외환위기 직후 예산을 절감한다는 이유로 폐지됐지만 2012년 손종현 전 회장 임기 시절 다시 부활했다.

그러나 제22대 박희원 전 회장 임기가 시작된 2014년 상근부회장 연봉을 회원 발전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하겠다는 이유로 또다시 공석으로 남게 됐다. 이후 제23대 정성욱 회장 임기가 시작된 이후 다시금 부활이 가시화됐지만 그 배경이 좀처럼 알려지지 않으면서 수많은 억측만이 쏟아져 나왔다.

임명예정자가 영남 출신의 지역과 무관한 인사라는 점도 문제가 됐다. 지역과는 전혀 무관한 인사임과 동시에 특정정당 출신이라는 이력에도 불구하고 사전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근부회장 부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는 이유다.

또 약 1억원 가까이의 고액 연봉직인 상근부회장이 계속된 경기불황으로 상의 회원들의 회비 징수마저 어려운 가운데 부활하면서 회원사를 위한 상의 자체 사업 예산이 그 만큼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결국 이러한 논란이 커지자 부담감을 느낀 임명예정자가 직접 직 고사를 밝혀왔다는 것이 대전상의 측 설명이다.

문제는 이로 인해 지역경제를 대표하는 단체인 대전상의의 위신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는 점이다. 다만 이번 사태를 교훈삼아 상근부회장제도 당위성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해 향후 사태반복이라는 최악의 수는 방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기업의 한 대표는 “지역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사가 논란 없이 임명됐다면 대전상의 조직과 지역경제 전체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교역할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었던 부분”이라며 “절차 과정에서 발생한 수많은 의혹이나 잡음으로 인해 그 취지가 퇴색돼 무척 아쉽다”고 말했다. 

또다른 지역 기업의 한 대표는 “타 지역 상의가 상근부회장제 순기능을 활용해 중앙정부나 지자체와 유기적 관계를 끌어올리고 다양한 사업 전개에 나서듯 대전상의도 장기적인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상근부회장제 순기능을 진지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며 “조직 내부적으로 이에 대한 충분한 당위성이 설명된다면 대전상의 발전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