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균형발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역소득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오히려 심화하고 있다.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중 9개 지역에서 소득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이 그제 밝힌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충남의 소득 역외유출이 전국 1위라는 사실이다. 2016년 기준 충남은 24조9711억원의 요소소득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요소소득은 해당지역에서 일하는 사람의 근로소득과 지역에 있는 기업소득의 합을 일컫는다.

충남의 요소소득 유출액은 2위 경북(16조1003억), 3위 울산(13조6305억), 4위 경남(12조205억) 등과 견줘 월등히 많다. 충남의 소득 역외유출액은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5%나 된다. 이렇게 유출된 소득은 주로 서울, 경기, 부산 등지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서울의 소득 유입액은 40조3807억원, 경기는 21조9464억원에 달한다. 이쯤 되면 수도권이야말로 지방의 소득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득 역외유출은 갈수록 더 벌어지는 양상이다. 충남의 2016년 소득 유출액 24조9711억원은 2000년보다 15조1671억원 증가한 액수다. 소득 역외유출이 많다는 건 도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가 도민에게 제대로 분배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2016년 기준 충남의 1인당 GRDP는 4984만원으로 전국 2위인 반면 1인당 개인소득은 1667만원으로 전국 9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외형적 성장만 큰 기형적 구조라 하겠다.

본사는 수도권에 두고 생산 공장만 운영하다 보니 영업이익이 본사에 집중되고 있다. 도내 근로자들이 주거지를 수도권에 두는 '직주불일치'도 한 원인이다. 지역에서 발생한 소득이 모두 지역에 머물 수는 없다. 하지만 작금의 과도한 역외유출은 지역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보고서는 지역화폐 도입을 통한 역내 소비촉진, 전략적 기업유치와 같은 대책을 제시했다. 충남도는 소득 역외유출이 고착화되기 전에 역외유출을 줄일 수 있는 강력한 처방전을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