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당시 불법선거 자금 요구 폭로 파문이 어디까지 번질지 초미의 관심사다. 대전시의회 김소연 의원이 첫 폭로를 한 이래 여기저기서 선거 자금을 강요받았다는 폭로가 이어지고 있다. 법정 선거 비용을 초과한 것이라는 점에서 은밀하게 물밑에서 불법선거를 부추겼다는 의혹이 짙다. 현역의원 연루설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터여서 진상규명 조치가 불가피한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선 주목을 끄는 건 초선 지방의원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당초 김소연 의원은 선거 과정에서 검은 돈 1억원을 요구 받았다고 폭로한 바 있다. 그런데 그 당시부터 이 돈의 성격이 ‘권리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추가로 폭로됐다. 특정 지방의원이 차기에 출마하지 않는 대신 그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대가로 돈을 챙긴다는 의미다. 특정 선출직 자리를 놓고 프리미엄을 주고 받는 격이다. 그게 사실이라면 ‘매관매직’이나 다를 바 없다. 한심하기 짝이 없다.

지방선거 후보에 대한 정당 공천제에서 비롯된 폐단이라는 의혹이 여러 곳에서 감지된다. 해당 선거구 현역 국회의원의 입김이 그만큼 셀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시중의 의혹은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에게로 향한다. 김소연 의원은 박 의원에게 불법 선거자금을 요구 받았다는 사실을 선거 당시 4차례나 설명했다고 한다. 박 의원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이를 묵인했다면 보통 일이 아니다. 그 당시 사태를 엄중하게 규명하고 관련자 및 책임자를 가려 명쾌하게 차단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사실 여부를 떠나 민주당측의 책임이 적지 않다. 공천 대가로 돈을 주고 받았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건 예삿일이 아니다. 야권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 문제는 돈의 성격이다. 이를 후원금 형식의 ‘특별당비’로 치부하고 있어 사태가 이상한 국면으로 흐르고 있다. 결국은 유야무야 될 소지가 크다.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에 그칠지 두고 볼일이다. 한점 의혹 없이 실체적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가려내지 않으면 안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