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13일 실시되는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동시선거) 열풍이 후끈 달아올랐다. 출마 유력자들의 하마평이 무성한 가운데 일부 인사들의 활발한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농촌에서는 대다수 주민들이 조합원이어서 조합장의 영향력이 실로 막강하다. '제2의 지방선거'로 불리는 것도 그 때문이다. 조합이 바로 서야 조합원들의 권익도 보장 받을 수 있다. 조합 대표를 뽑는 일이 그만큼 막중하다.

선거일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과열 혼탁 양상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아산에서는 현직 조합장에 대한 식사 제공 혐의 신고가 접수돼 조사 중이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5만원 상당의 선물을 조합원 47명에게 돌린 혐의로 고발 조치됐다. 역대 조합장 선거 때마다 '돈선거' '줄대기 선거' '깜깜이 선거'로 낙인 찍였던 과거의 오명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지금으로선 낙관하기 어렵다. 조합장 선거는 일반 공직선거와는 달리 지연·학연·혈연 등 인맥 중심의 선거판으로 치러지는 특성 탓에 자칫 불·탈법 선거에 휘말릴 소지가 더 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05년부터 조합장 선거 관리를 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런 특성 때문이었다. 총선이나 지방선거처럼 선거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아울러 높이기 위해서다. 2015년부터는 동시선거 체제로 전환됐다. 하지만 제1회 동시선거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공명선거 분위기를 흐리는 행위가 근절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당시 선관위에 적발된 단속건수를 보면, 매수·기부행위 위반이 349건(40.3%)으로 가장 많았고, 허위사실 공표·비방 53건(6.1%), 인쇄물·시설물 위반 117건(13.5%), 전화·정보통신망 위반 214건(24.7%) 순으로 집계됐다.

조합장 선거가 기존 공직선거 조직을 활용해서 이뤄지고 있는 측면 역시 주목할 부분이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너무 제한돼 있다 보니 유권자와 은밀하게 접촉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혼탁해지고 있다. 현직 조합장의 프리미엄이 커서 예비후보자들의 불·탈법을 부추기기도 한다. 이번에야말로 후보자는 물론 조합원 모두가 퇴행적인 선거 문화와 과감히 결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