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1위 충남도… 오명 벗어야>

글 싣는 순서
上 고령인구 자살률 1위 ‘불명예’
<中> 천안지역 심각… 도시형 자살예방 필요
下 민간단체 협력… 고위험군 대책 강화해야

천안 자살률 10만명당 29.8명, 매년 100여명 이상 자살 발생
노인·농어촌에 예방사업 집중돼, 도심지역 대상 별도 대응책 시급

이미지박스2-자살.jpg
▲ 사진 = 아이클릭아트 제공
천안지역의 지난해 자살률은 10만명당 29.8명으로 충남 전체 평균(31.7명)보다 낮다. 하지만 이는 전체 인구와 비교한 수치일 뿐 천안지역의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85명으로 도내 전체 자살자(664명)의 27.8%를 차지한다. 특히 천안에선 2003년 이후 꾸준히 100명 이상의 자살 사망자가 발생했고 1998년부터 총 274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년 간 3일에 한 명씩 자살 사망자가 발생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내 농어촌 고령 인구의 자살률이 더욱 높게 나타나면서 충남도의 자살예방사업은 노인과 농어촌을 대상으로 치우쳤다. 앞서 고령 인구에 대한 자살예방사업이 일부 실효성을 거둔 만큼 이제는 도심 속 자살자에 대한 별도의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충남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14~2016년 천안시의 특정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자살사건 169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자살발생 다발지역은 도시개발에 밀려 슬럼화된 A구도심(51건)과 도시외곽 저소득층 B아파트단지(28건), 유흥가와 신축 원룸이 얽힌 C지역(37건)으로 조사됐다. 자살사망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경제적 문제와 사회적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한 중장년집단이 85명(50.3%)로 가장 많았다. 또 신체·정신질환과 관계 단절로 고립된 경우가 32명(18.9%), 정신질환과 사회적 관계의 문제를 동시에 겪은 경우는 29명(17.2%), 신체질환의 요인만으로 자살한 경우는 23명(13.6%)로 나타났다.

사망자들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대체로 보호자 부재 또는 방임, 빈곤, 학대 등으로 불안한 성장기를 보냈고 대물림 문제와 사회적 기회 차단으로 인해 좌절을 겪었다. 하지만 사회적 서비스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에 거주하며 제대로 도움을 받지 못했고 끝내 자살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센터는 주요 원인으로 아동보호체계와 사회서비스의 부재, 소득불평등의 사회·경제 구조, 사회적 소수자 및 약자에 대한 편견과 배제 등을 꼽았다. 해당 구역과 사망자들이 겪은 상황의 공통점은 이웃 간 소통이 단절된 데다가 결국 관련 지원체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단 점이다. 특히 농어촌에 비해 발달된 도시에 속하면서도 지역 내에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격차가 컸고 오히려 심각한 소외현상을 겪고 있었다.

10여년에 걸쳐 누적돼온 이 같은 상황은 ‘자살률 1위 충남’의 오명을 벗기 위해 거쳐야할 주요 과제로 남게 됐다. 도 관계자는 “자살예방사업이 농어촌에 치우쳤던 점을 인식하고 내년부터 도시형 자살예방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심리와 치료, 경제, 사회적 관계 치유 등 지원을 융복합한 지원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