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추자 대전시 환경녹지국장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은 그 도시의 얼굴이자 품격이다’라는 말이 있다. 언뜻 보면 지나친 논리비약이라고 할 수 있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딱 맞는 말이다. 시민이든 외지 방문객이든 누구나 공중화장실을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그 도시의 화장실이 더럽고 안전까지 문제가 된다면 불쾌감과 불안감으로 다시는 이용하기 싫을 것이다. 반면, 공중화장실의 청결위생상태가 좋고 이를 이용하는 시민의 준법·질서의식이 높다면 기분도 상쾌해진다. 한 마디로 공중화장실문화는 도시 구성원인 시민의 품격과도 정비례한다.

필자가 공중화장실을 단순히 대소변을 보는 영어의 ‘토일렛(Toilet)’이나 휴식기능을 더한 ‘레스트룸(Restroom)’으로만 인식하지 말고, 문화의 개념으로 보자는 뜻도 이와 다르지 않다. 우리 인간의 배변활동은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요소이고, 건강의 기본요소가 될 뿐만아니라 그 공간에는 질서와 배려의 공동체문화가 존재해야하기 때문이다. 한국화장실연구소 조의현 소장은 ‘세상의 변화는 화장실에서 시작된다’라는 저서에서 “누구나 하루 15분, 일생에 1년이상 사용하는 화장실은 어둡고 칙칙한 곳이 아니라 가장 편안해야할 생활공간이라는 인식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대전시도 화장실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면서, 특히 2019년 대전방문의 해를 맞아 ‘청결·안전 공중화장실 만들기’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방안은 공중·개방화장실의 청결향상 및 시설개선이다. 대전시내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공중화장실 450개소, 공공기관의 시설물이나 민간 소유 건물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협의·지정한 개방화장실 602개소가 조성돼 있다. 이 가운데 공원과 하천변의 공중화장실 126개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926개소는 자치구 사무인데, 시는 노후 화장실 신축을 포함, 올해안에 총 10개소의 공중화장실을 새롭게 조성하고 향후 자치구에 대한 각종 보조금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이들 화장실에 대한 자치구 점검과 시-구 합동점검 등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둘째는 이용자가 안전한 공중·개방화장실을 만드는 일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여성 및 노약자의 안전을 위한 점검을 확대하면서 남녀 공용화장실 분리, 안심비상벨 설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중이다. 특히 불법촬영 범죄와 관련 지난 1년간 총 4회에 걸쳐 시-구 또는 경찰청과 합동으로 공중·개방화장실 700개소에 대한 몰래카메라 설치여부를 점검했고, 단 한건의 불법사례도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향후 대책으로는 시민안전실과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올 연말까지 불법촬영 탐지장비 약 200대를 자치구별로 구입·배치토록하고 상시점검 체계화로 몰카범죄를 원천차단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같은 청결·안전관리 강화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품격있는 공중화장실 문화’를 조성하려는 시민들의 참여의식과 실천이다. 공중화장실을 내 집 화장실처럼 사용하고, 변기에 이물질을 버리지 않으며, 불법촬영 등 범죄의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안심비상벨을 누르거나 경찰에 신고하는 시민의식이 바로 그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