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현안이 산적해 있다. 세종시의 행정수도 완성 프로젝트를 비롯해 과학벨트, 강호축 구축,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및 혁신도시 추가 지정 등 한 둘이 아니다. 지방분권 및 균형발전 차원에서 반드시 관철해야 하는 사안들이어서 비상한 각오로 대처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충청권 4개 시·도와 지역 정치권의 상생협력 기조가 어느 때보다도 긴요하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프로젝트의 경우 크게는 '헌법에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명문화' 하는 험난한 과정을 넘어야 한다. 국회 세종분원 설치, 청와대 제2집무실 설치, 여성가족부 등 정부 부처의 추가 이전 등 제도적·실질적 후속조치가 절박한 처지다. 지난날 충청권이 하나로 뭉쳐 세종시 위기 국면을 극복했던 것도 그래서였다. 과학벨트 또한 대전을 주축으로 세종, 청주, 천안·아산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혁신성장을 추진하는 체계라는 점에서 충청권의 공조는 필수적이다. 내년도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돼 위기감이 감돈다. 2021년 완공 목표를 달성하려면 지역민의 역량을 총동원해도 모자랄 판이다.

기존 경부축 위주의 국토전략을 수정해서 강호축(강원-충청-호남) 개발로 전환하는 사업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손색이 없다. 충청권 4개 시도를 포함 모두 8개 시도가 뜻을 같이하고 있다.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포함되도록 충청권이 먼저 힘을 합해야 한다. 이밖에 대전·충남의 공통 현안으로는 혁신도시 추가 지정과 공공기관 이전 문제를 들 수 있다.

충청권 공조 여부에 사업의 성패가 달려 있다. 하지만 이상 기류가 곳곳에 드리워져 있어 유감스럽다. KTX 세종역 신설 등 시 도별 현안을 둘러싼 지역 갈등 때문이다. 충청권 광역단체의 상생 공조를 위해 1995년 결성된 '충청권행정협의회'조차 열리지 않고 있다. 모두 집권여당 출신인 이들 4개 시 도지사가 이 모양이다. 설령 이견이 있으면 만나서 서로 갈등 해결을 위한 대안이라도 찾는 게 순리다. 내 밥그릇만 챙기다보면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우를 범하기 십상이다. 지나친 소지역주의는 공멸을 자초할 따름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