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3교대·성과금 인상 등 요구
사측은 난색…지역 악영향 우려

슬라이드뉴스2-당진현대제철.jpg
사진 = 현대제철.  당진공장구글 지도
현대제철 당진공장 노조(이하 현대제철노조)가 또 다시 파업 카드를 꺼내 든 가운데 이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임금 및 단체협상(이하 임단협)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실정에서 노조는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3차 파업까지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현대제철노조는 이달 첫 주 3일간 1차 파업에 이어 지난 15~20일 2차 파업을 강행했다. 19일에는 서울 양재동 본사 앞에서 대규모 결의대회를 갖기도 했다.

노조 측이 요구하고 있는 것은 크게 2가지로 '5조3교대제 도입'과 '현대차 등 현대차그룹내 계열사 수준의 성과금 인상'이다.

우선 현대제철노조는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주 근로 52시간 시행을 4조3교대로는 맞추기 어려우며 현실화를 위해 5조3교대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2014년 단체교섭 합의시 5조3교대 근무형태와 임금제도 개선방안을 2020년까지 공동 검토키로 합의한 바 있다.

노조 측의 5조3교대 시행시기 확정 요구에 대해 현대제철은 하이스코 냉연공장 합병, 순천 단조공장 증설 등 여러 사업을 확대해 나가면서 5조3교대를 검토해 볼 필요성은 있으나 복잡한 사안들이 산적해 있기에 당장 시행시기 확정은 시기상조라는 반응이다. 

근무제도 변경은 단순히 1개조를 추가하는 것으로만 볼 수 없는 회사의 중차대한 문제이기에, 우선적으로 전공정에 걸쳐 직무형태와 현실화 할 수 있는 적정 근무인원 검토, 5조3교대가 됐을 때 임금감소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시간이 필요하다는 조심스런 입장이다.

현재 국내에서 5조3교대를 시행하고 있는 업체는 3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가동 축소, 방사능 등 특수 근로조건, 물량난과 경영악화를 위한 자구책 등이 주된 도입 이유다.

철강업계에선 단 1곳도 없다. 중장기적 측면에서 볼 때 일자리 창출과 근로시간 단축에만 초점을 맞춰 현대제철에서 최소 1000명 이상의 근로인원을 채용한다면 불안정한 경기 변화에 따른 회사의 인건비 부담과 인원관리의 어려움도 짚어봐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된다.

노조는 또 현대차그룹이 이른바 '양재동 본사 가이드라인'에 의거 암묵적으로 주력사인 현대차, 기아차가 임단협을 타결하면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 현대제철, 현대로템 등 제조 계열사의 임단협을 타결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이번 협상에서 '기본금 4만 3788원 인상, 성과금 250%+280만원, 상품권 20만원' 등을 제시했다. 성과금만 1000만원이 넘는 액수다. 지난해 말 기준 현대제철의 직원 평균급여는 8500만원 정도로 업계 1위인 포스코(8700만원)와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업이 장기화로 치닫을 경우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당장 당진상공회의소가 호소문을 내고 우려를 표명했다. 

당진상공회의소는 호소문에서 "현대제철의 두 차례 파업과 임단협 장기화가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당진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며 "노동조합과 회사가 각자의 입장만을 주장해 파업과 대립으로 맞설 것이 아니라 대의를 위해, 다수를 위해 끊임없이 대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당진=인택진 기자 intj469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