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구성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가 오늘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정개특위 설치안은 지난 7월 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여야가 특위위원 정수를 놓고 기 싸움을 벌이는 통에 석 달 가까이 지각 출범하게 됐다. 정개특위의 실질적 활동기간은 연말까지로 갈 길이 바쁘다. 우여곡절 끝에 닻을 올린 정개특위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선거제도 개혁이라는 중차대한 과제가 정개특위 앞에 놓였다. 여야 모두 선거제도 개편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논의 자체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각 당의 이해관계가 워낙 첨예한지라 상당한 진통 또한 예상된다. 여기에 보수대통합의 향방에 따라 선거제 개편도 영향을 받을 게 분명하다. 여야는 정개특위 활동시한인 연말까지 선거구제와 의석수 조정을 매듭짓겠다고 다짐한 터여서 어떤 성과물을 내놓을지가 관심사로 떠오른다.

정치권에서 제시하는 선거제 개편의 큰 틀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중대선거구제로 요약된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 득표율에 비례해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소수정당이 선호하고 있다. 의석수 감소가 예상되는 이 제도에 거대정당들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변수다. 한국당은 현행 소선거구제보다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지역구에서 2명 이상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는 당연히 거대정당에 유리하다.

정개특위는 합의제다. 각 당은 유·불리를 따지며 복잡한 셈법을 할 것이다. 당마다 최적안을 제시하겠지만 어느 한 정당이라도 반대를 표명하면 합의안을 내놓을 수 없다. 모든 정당이 동의하는 개혁안을 만든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 거대정당이 기득권을 내려놓으면 급물살을 탈 수 있으나 특권을 포기할리 만무다. 정개특위가 당리당략에 치우쳐 직무를 유기해서는 안 될 일이다.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외면 말라.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