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지 담수호 수질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수질기준(4등급)을 초과하는 담수호 비중이 절반에 가깝다. 전국 22개 담수호 중 4등급 초과시설은 2015년 6개소(27.3%)에서 지난해 10개소(45.6%)로 불과 3년만에 4개소나 증가한 것으로 국감에서 밝혀졌다. 그럼에도 수질 관리대책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관리주체인 지자체나 한국농어촌공사의 안일한 자세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담수호는 대규모 간척지 조성으로 해수의 유동량과 유속이 줄어든 구조로 돼 있다. 갯벌이 사라지면서 육지의 부영양화된 민물이 유입돼 수질 악화를 이끌고 있다. 지난해 4등급 초과 담수호 전국 10개소 가운데 충남은 대호호, 석문호, 삽교호, 간월호, 이원호 등 5개소로 지목됐다. 참담한 수준이다.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뒤늦게 인식한 것도 문제이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다가는 더 이상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 오지 말라는 법도 없다. 오랫동안 수질 오염원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탓에 호수바닥에 오염물질의 퇴적층이 켜켜이 쌓이고 있다. 적정한 기본계획을 세워서 수질관리 보전 대책을 꾸준히 모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국감 결과를 보니 한심하기 그지없다. 계획조차 세우지 않는 곳이 상당수다. 아예 수질대책 실적이 하나도 없는 곳도 4등급 초과시설 10개소 가운데 8개에 달한다. 2010년 정부고시로 간척지별 토지이용 용도를 다양화하고도 이에 따른 적합한 용수 확보대책이 없었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

담수호가 오히려 환경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수계 지역별 공공하수처리시설 확대와 오염원별 저감시설 증설, 호수 바닥 준설 및 습지 조성 등 대응책이 필수적이다. '해수유통·갯벌화’도 대안 중의 하나다. 충남은 천수만·부남호 역간척을 통한 해양생태도시 육성 정책을 정부에 얼마 전에 공식 제안한 바 있다. 담수호 수질을 보전하려면 관리 주체의 몫이 가장 크다. 민관협의체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 대책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