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혁신도시의 정주여건 만족도가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최저 수준이라고 한다. 도시 계획 당시부터 예견된 일이긴 하나 막상 성적표를 들고 보니 착잡하다. 혁신도시는 노무현 정부 때 지방균형발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산·학·연·관 협력을 통해 성장 거점지역에 미래형 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충북 진천·음성혁신도시에 법무연수원,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10개 기관이 이전해 있다.

국토교통부의 '혁신도시별 정주여건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충북혁신도시의 전반적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40.9점에 불과하다. 전국 평균 52.4점 보다도 10점 이상 낮을 걸 보면 충북혁신도시의 정주여건이 얼마나 낙후돼 있는지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교통환경분야는 34.7점, 여가활동 분야는 36.6범, 편의·의료서비스 분야는 39.3점으로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북혁신도시를 살리려면 정주여건부터 혁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뼈에 와 닿는다.

정주여건은 인구유입 요건과 맞물려 있다. 기반시설 조차 갖추지 않고 들어와 살라고 요구하는 건 무리다. 실례로 충북혁신도시에는 대형의료시설이 없다. 때문에 응급환자 발생 시 멀게는 청주까지 이동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다행히 대형의료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소방복합치유센터를 유치해 의료 사각지대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이나 완공까지 수년을 기다려야 한다. 체육시설, 문화공연 등도 기관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충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임직원의 출퇴근 비율은 44.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법무연수원 직원의 출퇴근 비율은 심지어 90%에 달한다. 가족은 서울에 두고 '나홀로' 이주한 직원이 많아 주말에는 유령도시가 된다는 말도 나온다. 이래서는 혁신도시의 본래 취지인 지역균형발전의 거점이 될 수 없다. 부족한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정부는 인프라가 가장 열악한 충북혁신도시에 우선적으로 예산을 집중 지원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