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1.jpg
“사람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고, 말을 낳으면 제주도로 보내라.” 대한민국의 서울 중심적 사고를 여실히 드러내는 옛 속담 중 하나다. 그렇다. 2018년 대한민국의 현주소 역시 서울이다. 지성의 상아탑, 대학가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아니 더욱 심각하다.

지난 11일 시작된 국정감사에서도 서울 중심 정책의 민낯이 드러난 한 통계가 대학가에 충격을 줬다. 소위 엘리트 대학이라며 칭하는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는 정말로 대학가의 ‘하늘’이었다. 이들 대학 3곳은 5년간 무려 6조 1161억원의 국고를 받았다. 6조,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숫자다. 교육현장인 만큼 모든 인과관계와 기준의 척도가 돈이 될 순 없지만 이건 해도 너무했다. 이렇게 쏟아 부었으니 교육시설, 커리큘럼, 우수교원, 학생유치, 장학금 규모 모든 면에서 다른 대학들은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게 어쩌면 당연하다. 이러니 대학가의 ‘하늘’이 될 수밖에…

이렇게 소수 대학에만 예산을 퍼주고 학령인구가 감소하니 지표 만들어 성적이 낮다는 명분으로 돈줄을 끊겠다는 교육부의 대학 구조조정(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은 가히 웃지 못할 참상이다. 수도권에 위치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비수도권 대학의 상황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기부금이니 각종 지원금이니 각종 돈 보따리는 수도권 대학이 독식하고 옛 속담처럼 무조건 서울로 가야 성공한다는 일명 ‘서울주의자’ 마인드를 가진 수험생들의 원서에는 비수도권 대학은 없다. 지역대 학생들이 갖고 있는 내재된 패배의식 또한 여기서 기인한다.

물론 부정부패에 찌든 사학재단과 경쟁력 없이 도태되는 대학까지 국가가 안고 가야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축이자 인프라인 지역 국립대, 그리고 특성화 대학의 잠재력은 정부가 견인해주지 않으면 발전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지역대학이 살아야 지역도 산다. 최소한 교육현장에서 만큼은 부와 지위가 되물림 되는 일이 없기를. 사람을 낳으면 서울이 아니어도 ‘잘’ 살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최윤서·대전본사 교육문화부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