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연구소 자료 공개, 수도권 재학·휴학생 39% 차지
구조조정 여파…지방대 더 큰 탓, “고등교육 위태…적정 방안 찾아야”

지방대.jpg
▲ ⓒ연합뉴스
최근 5년간 비수도권 대학생 13만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 정원 감축에 따른 대학 구조조정이 현실화되고 있다. 비수도권 대학들은 오는 2021년까지 정원 5000명 이상을 추가로 감소해야 해 이른바 ‘지방대 고사 위기’ 현실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0일 대학교육연구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학 제적생(재학생+휴학생) 가운데 수도권은 108만 806명(39%), 비수도권은 168만 8716명(61.0%)으로 집계됐다. 이중 서울에만 재적생 1/5(20.2%)이 집중돼 있었다.

5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6만 4058명(5.6%)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은 13만 8314명(7.6%) 감소해 지역대 정원 감축률이 수도권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는 대학 구조조정에 따른 정원감축의 여파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 더 컸기 때문이다. 또 2013년 선교청대(충남), 건동대(경북), 2014년 경북외대(대구), 벽성대(전북) 등 지역대 6곳에 대한 폐교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지역 감소율은 전체 감소율의 1.8%(1만 260명)에 불과했다. 지난 1주기 구조개혁 결과에서도 서울의 정원감축률은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2주기 대학구조조정 결과 역시 1주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소는 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대학 입학정원이 2018년 48만 703명에서 오는 2021년 47만 388명으로 총 1만 315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먼저 4년제 대학의 경우 서울권 감축인원은 238명으로 전체 감축인원의 2.3%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7만 3872명)과 학생 수가 비슷한 광역시(7만 3013명)에서는 총 1191명을 감축해야 한다. 서울 학생 수의 1.6배인 비광역시(12만명)에서는 3900명을 줄여야 하는데 이는 서울의 약 16배에 달하는 수치다. 전문대는 서울에서 542명, 경기·인천에서 1939명 등 수도권에서 총 2481명을 감축해야 하는데 역시나 지역 감축인원은 1657명(광역시 444명, 비광역시 1213명)으로 더욱 많았다.

결과적으로 전체 대학 감축인원 1만여명 중 서울이 781명으로 가장 적고, 비수도권은 5113명 줄어 정원 감축률은 서울의 약 6배에 달했다.

연구소는 대학 구조조정이 향후 같은 방식이라면 전문대, 지역대, 중소규모 대학이 정원 감축의 주 대상이 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대규모 대학과 중소규모 대학 간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 관계자는 “고등교육 생태계가 매우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 미충원이 심각해 폐교하는 대학이 늘고, 이는 지역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따라서 정원을 감축하되 지역 간 균형발전과 대규모대학의 적정 규모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